기술 전략 분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기술 전략 분석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권혁중 기자
  • 승인 2022.02.24 03:33
  • 댓글 0

[서울=글로벌뉴스통신]각국의 기술 보호주의가 거세지고 국가 주도의 기술 전략이 우선되는 상황에서 한국 핵심 전략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는 국제포럼이 KAIST 혁신전략 연구소(ISPI) 주최로 개최된다.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소장 김원준 교수, ISPI: Innovation Strategy and Policy Institute, 이하 ISPI)는 24일(목) 오전 9시 ’전략 기술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기술지정학적 대응’을 주제로 ‘ISPI-GF 2022 국제포럼’을 온라인으로 연다.

동아사이언스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AI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기술 전략 분석 전략기술의 글로벌 경쟁 상황을 파악하고 이들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한 국가 기술전략의 방향을 논의한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기술 전략 분석 김원준 KAIST ISPI 소장과 김진우 KAIST 교수가 ‘전략기술의 글로벌 경쟁 현황과 전략적 대응방향’을 주제로 ISPI에서 분석한 이차전지와 AI반도체의 글로벌 경쟁상황과 한국의 현황을 소개한다. 이날 소개에선 이들 기술들의 국가별 수준과 기업과 대학을 포함한 혁신 생태계 등을 집중 조명한다.

세션 토론에서는 김원준 소장이 좌장을 맡고 최우석 산업부 소재융합산업정책국장,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글로벌공급망 분석센터장), 조용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아태첨단기술전략연구센터 연구위원이 토론자로 나서 전략기술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심도있게 논의한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기술경영학계의 거두인 조시 러너(Josh Lerner)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와 카즈유키 모토하시(Kazuyuki Motohashi) 도쿄대 교수, 그리고 이근 서울대 석좌교수(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술전략 방향을 논의한다.

조시 러너 하버드대 교수는 국가주도 기술전략의 장단점을 설명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간섭이 벤처를 중심으로 한 혁신성장 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밝힐 예정이다. 모토하시 교수는 일본 전략기술의 정책방향을 소개하면서 과학기술과 경제 안보의 연관성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근 교수는 미중 갈등이 한국 제조업에 기술 전략 분석 던지는 시사점을 소개하고 한국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두번째 세션 토론회에서는 김원준 소장이 좌장을 맡고 발표에 나선 조시 러너 교수와 모토하시 카즈유키 교수, 이근 교수 등이 패널 토론을 맡는다.

이번 포럼에서는 이광형 KAIST 총장이 개회사를 하며 이우일 한국과총 회장이 축사를 전한다.

포럼을 총괄한 김원준 ISPI 소장은 “기술 전략 분석 전략기술은 앞으로 국가의 경제 안보 과학기술 산업외교 통상 등 전방위에 걸쳐 국가전략을 좌우하고 있다”며 “ 이에 따른 국가차원의 글로벌 기술전략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어 이번 포럼을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ISPI 국제포럼은 유튜브 ‘KAIST채널’과 유튜브 '동아사이언스 TV채널’, '한국 과총 유튜브’ 등을 통해 전세계 실시간 중계되며 동시 통역을 제공한다.

기술 전략 분석

기술 자원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방대한 기술 창업 사례와 분석을 담아낸 개론서 '기술사업화'가 출간되어 큰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창업교육과 창업생태계 확산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창업 실천가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경환 주임교수와 시스템경영공학과 이지훈 겸임교수가 기술사업화의 개념과 유형부터 최신 기술사업화의 트렌드와 기술 전략 분석 해외 정책까지 망라한 전략 도서를 도서출판 씨이오메이커를 통해 출판했다.

김경환 교수는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GDP 대비 약 4% 이상으로 높은 투자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연구개발 결과물을 사업화시키는 효율성 면에서는 미국이나 이스라엘 등에 비해 미흡하다."면서 "연구개발 결과의 기술이전이나 기술에 의한 창업이 부족한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이 책에서는 부족한 기술창업에 대한 지원을 위해 내용을 설계하고 구성하였다. 내용을 2개의 부로 나누어 제1부에는 기술사업화 개념 및 유형, 기업가정신과 창업가정신, 성과확산, 제품 아이템 도출 전략, 기술마케팅 등을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기술가치평가, 지식재산권, 스핀오프, 최신기술사업화 트렌드, 해외 기술사업화 정책 등을 다루고 있다. 그 외에도 창업자들에게 가장 절실하고 부족한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금융에도 비중을 두었고, 특허와 기술유동화증권 등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4차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날로 기술창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보다 많은 연구와 함께 기술가치평가 등 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에 비추어 이 책을 통해 기술사업화에 대한 포괄적인 안내를 받으며 기술자원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김경환교수는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영학사, KAIST에서 정보통신경영학석사를 취득하고 이후 성균관대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주임교수로 창업정책, 기술사업화, 기술마케팅, 기술가치평가 등의 강의와 함께 초기 기술창업가의 성공을 이끄는 각종 정책과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공저자 이지훈 교수는 강원대학교에서 회계학석사와 경영학박사를 취득하고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사무국장과 전문엔젤투자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애플의 기술경영전략분석11111111

본론
Ⅰ. About Apple company
Ⅱ. 스마트폰이 만드는 새로운 시장
- 기술 환경 분석
Ⅲ. 스티브 잡스의 위대한 선택
- 새로운 차원의 디지털 혁명이 온다!
1. Apple의 기술 지향적 환경 분석
(1) 산업 구조 분석
(2) 경쟁기업 분석
(3) 핵심 기술의 결정
1) 하드웨어적 기술
2) 소프트웨어적 기술
(4) 기업 문화의 분석 - 수평적 기업문화
(5) 기술 포트폴리오
- 아이폰 4 SWOT 분석
Ⅳ. Apple의 기술 전략 분석
- 아이폰 쇼크, 애플의 전략 - 비상식적인 휴대전화
Ⅴ. Apple의 사업 전략 분석
- 아이폰이 문화를 바꾼다!

사람들은 왜 `Apple`에 열광하는가?
-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몰고 오는 디지털혁명
우리는 지금 디지털 문명이라는 새로운 트렌드 안에서 변화의 굴곡을 겪고 있다. 우리의 라이프스타일 속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디지털 코드가 새겨지는 중요한 순간이다. 새로운 디지털 문명과 기존 인터넷 문명의 충돌이 만들어 내는 공간, 그것은 디지털 캐즘(Chasm)이다. 캐즘의 시기는 새로운 문명이 완숙기에 접어들면 점차 공간이 줄어드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 시기를 기술 전략 분석 기술 전략 분석 잘 맞춘 사람들에게 이 격변은 하나의 기회가 될 것이다.
블루오션의 시대는 끝나고 디지털오션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매년 9월 미국에서 애플사의 키노트가 열리는데, 이것은 미국에서는 물론 한국에서도 수없이 회자되며, 많은 이들이 주의 깊게 살펴보는 발표가 되었다.
한국에서 애플제품이 많은 관심을 받게 된 것은 아이폰이 그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볼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만해도 소수 마니아들 사이에서만 관심이 높았던 애플이라는 회사. 지금은 애플의 키노트에서 발표되는 제품을 지켜보기 위해 밤잠을 설치기도 하고, 제품이 나오면 1차 예약, 2차 예약 등 `Apple`을 사기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기다리고, 손안에 잡히는 작은 물건 하나를 어렵게 갖게 되면 어린아이처럼 기뻐한다.
아이폰의 뒷면에는 먹다 만 사과 로고가 선명히 새겨져 있다.

No1.Technology

기술 전략 분석

기술전략은 기술/제품의 설계와 개발, 원천 기술, R&D 계획 관리, 자금 등의 문제를 다루며, 경쟁자와의 우위 확보를 위한 경쟁 전략에서 필수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변화가 산업구조와 경쟁 우위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기술변화가 빠른 테크 기업의 경우에는 잘 정리된 기술개발 전략과 정책전략 확보는 필수적 이다.

- Market-Driven Approach : 제품에 대한 경쟁 요소(BOC: Bases of Competition)에 대해 비중을 선정하고, 각 BOC별로 기업의 가치 사슬(Value Chain)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핵심 성공 요소(KSF: Key Success Factor)로 정의한 뒤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는 방법

- Technology-Driven Approach : 사업부의 기술 니즈에 따른 기술 개발이 아닌 기술의 발전 동향과 외부의 연구개발 진행에 대한 기술 정보(TI: Technology Intelligence) 수집을 통한 도출 방법

2) 기술 분해 및 기술 구성도 작성 : 제품 및 기술의 특성, 사용자의 기술 분해 목적에 다라 기술 분해의 수준을 결정하여 기술 구성도(Technology Tree)를 작성

3) 기술 평가 : 도출된 기술 필요성을 모두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술의 평가를 통한 우선 순위화 과정이 필요

- 평점모델(Scoring Model)을 통한 정량적 평가

- 기술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한 정성적 평가

4) 기술 로드맵(TRM: Technology Roadmap) 작성

- TRM은 조직의 기술 전략을 대변하는 마스터 플랜으로, 핵심 기술의 확보 시점을 표기하여 전사 차원의 전략 커뮤니케이션 방안으로 활용

- TRM(Know-How)은 조직의 전략 로드맵(Know-When), 제품 로드맵(Know-What), 환경 로드맵(Know-Why)과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함

○전문가가 말하는 기술전략

기술 전략은 기술 기업에게는 핵심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대기업들에 있어서는 IT 전략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 또는 그것의 부분집합으로 여겨지곤 한다.

중소기업들에서는 누군가의 머릿속에 들어 있는 계획 외에 딱히 전략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러나 이것을 공식화하고 문서화하게 되면 진정성이 더하게 될 뿐 아니라 결정적으로 그 이면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 전략 분석 기회를 제공해 준다.

모든 것을 한 자리에 모으면 해당 내용이 진정으로 유용한지 심사숙고하고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계획을 문서화하는 과정에서 이것이 전략으로 격상될 수 있다는 뜻이다.

「오피스 그룹」 CTO - 피터 채다

전략 또는 계획이 특정 프로세스를 따를 필요는 없지만 프로세스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술을 여러분이 하는 일에 접목하게 되고 결국엔 이것을 전략이라 부르게 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나서 이를 위한 최선의 기술을 선택하기 바란다.

수준 높은 설계를 완성하면 적절한 시스템 요소를 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제조와 관련되어 있다면, 활동의 90%가 Vanilla 형식의 SAP에 의해 지원 될 수 있다. 또는 혁신적인 비즈니스일 경우, 해당 CIO는 R&D 시스템을 구성해야 할 수도 있다. 인터넷 기술 전략기술 전략 분석 분석 소매업자의 경우, 재고 관리 시스템이 핵심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런 핵심 요소와 지원 시스템을 백지 위에 서로 연결시켜 배치하면 아키텍처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정리하고 나면 서버의 수, 호스팅 위치, 호스팅 주체, 제품에 대한 선호도 등 좀 더 낮은 수준의 것들을 생각하게 된다.

또한 자신만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구매할지 여부, 자체적인 IDC를 운영할지, 관리를 아웃소싱할지 여부 등도 결정해야 한다.

많은 결정사항들이 돈과 관련되어 있으며 비즈니스적 우선순위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점차 많은 기업들이 자체적인 핵심 비즈니스를 위해 자본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며 써드파티 데이터 센터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기술 트렌드 분석을 기술 전략 분석 위한 방법

블로그 이미지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 중소기업 전략 기술 로드맵 분석, 경쟁정보 분석 서비스, 지능형 산업 시장분석 시스템을 활용하면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각 서비스별 간략한 요약 정보와 접속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중소기업 전략기술 로드맵 분석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분야, 제품, 기술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중소기업형 단기 기술로드맵을 기획·수립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개발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중소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개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소기업 로드맵은 중소기업들에게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R&D 이정표 제시 및 중소기업 현황과 수요를 반영한 중소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 한다.

(smroadmap.smtech.go.kr 접속) → (메인 화면에서 관심 및 해당 분야 선택) → (로드맵 및 자료 기술 전략 분석 확인)

경쟁정보분석 서비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는 논문․특허 등 대규모 정보자원에서 글로벌 경쟁 기술의 활동 상황을 감지․분석함으로써 R&D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경쟁정보분석 서비스 를 개발하였다.

R&D 기회․위협 요인에 대한 신속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가 연구개발사업 연구자 및 혁신형 중소기업에 상시적 경쟁기술 모니터링 기회를 제공한다.

정보분석 비전문가를 위한 시스템으로써 활용도 높은 분석 모델을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 대한 간략한 분석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compas.kisti.re.kr 접속) → (회원가입) → (서비스 선택 후 이용)

지능형 산업 시장분석 시스템

지능형 산업시장 분석 시스템은 KISTI에서 축적한 산업·시장분석 알고리즘과 독자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학·연·관에게 기술사업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산업 시장정보를 제공해주는데 목적 을 두고 있는 지능형 산업 시장분석 시스템이다.

시장규모 분석, 경쟁현황 분석, 사업성 분석, 환경 분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kmaps.kisti.re.kr 접속) → (회원가입) → (시장규모 분석, 경쟁현황 분석, 사업성 분석, 환경 분석 등 서비스 이용)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