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계산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24Hour binance accumulate liquidation - BTCUSD

코딩 기록

코스피 레버리지 ETF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장세 (상승이건 하락이건)에서 장점이 극대화됩니다. 하지만, 횡보장에서는 투자 안 하니만 못하게 손실만 누적됩니다.

기초 자산이 30% 상승할 때, 2배 레버리지는 경우에 따라 60%가 아니라 90%, 레버리지 계산식 100% 상승할 수 있음

기초 자산이 30% 하락할 때 2배 레버리지는 -60% 손실이 아니라 그보다 적은 손실인 -40%로 마무리되는 경우도 있음

횡보장에서는 기초 자산은 그대로인데, 레버리지는 지속해서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즉, 코스피 레버리지 ETF는 방향이 한쪽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유리하다는 의미입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레버리지 계산식 간단한 산수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코스피 지수를 2배 추적하는 코스피 레버리지 ETF를 가정하여 살펴보겠습니다.

A. 코스피 지수가 2일 연속으로 10% 상승한 경우 (엄청난 폭등장이네요)

- 코스피 지수 : 1.1 X 1.1 = 1.21, 21% 상승

- 2배 레버리지 지수 : 1.2 X 1.2 = 1.44, 44% 상승

21%의 2배는 42%인데 2%의 추가 상승

B. 코스피 지수가 2일 연속으로 10% 하락한 경우 (대폭락장입니다)

- 코스피 지수 : 0.9 X 0.9 =0.81, 19% 하락

- 2배 레버리지 지수 : 0.8 X 0.8 = 0.64, 36% 하락

19%의 2배 하락은 38% 하락인데, 2% 덜 하락

C. 코 스피 지수가 하루는 10% 상승, 하루는 10% 하락

- 코스피 지수 : 1.1 X 0.9 = 0.99, 1% 하락

- 2배 레버리지 지수 : 1.2 X 레버리지 계산식 0.8 = 0.96, 4% 하락

1% 하락의 2배는 2% 하락인데, 2% 추가 하락

그 이유는 바로 일간 복리 효과 때문입니다.

위의 계산을 일반화시켜 보겠습니다.

A. 코스피 지수가 2 일 연속으로 a% 상승 시

- 코스피 지수 : (1+ a) X (1+a) = 1+ 2a + a^2

- 2배 레버리지 지수 : (1+ 2a) X (1+2a) = 1 + 4a + 4a^2

- 단순 2배 레버리지 상승 계산 : 1+4a (2a X 2)

단순히 단리로 2배 오른 것보다 레버리지 지수에서 4a^2의 추가 수익

B. 코스피 지수가 2 일 연속으로 레버리지 계산식 a% 하락 시

- 코스피 지수 : (1- a) X (1-a) = 1- 2a + a^2

- 2배 레버리지 지수 : (1- 2a) X (1-2a) = 1 - 4 a+ 4a^2

- 단순 2배 레버리지 하락 계산 : 1-4a (-2a X 2)

단순히 단리로 2배 하락 것보다 레버리지 지수에서 4a^2의 추가 수익

C. 코스피 지수 가 하루는 a% 상승, 다음 날은 a% 하락 시

- 코스피 지수 : (1+ a) X (1-a) = 1- a^2

- 2배 레버리지 지수 : (1+ 2a) X (1-2a) = 1 - 4a^2

- 단순 2배 레버리지 상승 계산 : 0 (2a-2a)

단순히 2배 등락한 것보다 레버리지 지수에서 -4a^2의 추가 손실

즉, 코스피 레버리지 ETF는 기초 자산의 하루 등락률을 배수기준으로 매일 복리로 레버리지 계산식 계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계산상 한쪽으로만 움직여야 추가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대로, 방향이 바뀌면 손실이 발생합니다.

중학교 2학년 수학이지요? 플러스 곱하기 플러스는 플러스, 마이너스 곱하기 마이너스도 플러스, 플러스 곱하기 마이너스는 마이너스, 따라서, 코스피 레버리지 ETF는 방향이 바뀌는 (플러스, 마이너스) 횡보장에서 수학적으로 반드시 추가 레버리지 계산식 손실이 나는 구조입니다.

반면 추세장에서는 장점이 극대화되지요.

통계적으로 시장의 2/3는 횡보장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유로 인해 코스피 레버리지 ETF를 바이 앤 레버리지 계산식 홀딩식으로 장기투자하는 경우 기초 자산은 가만히 있는데 레버리지 ETF는 계속 손실이 발생하는 황당한 사태가 발생합니다.

KODEX 레버리지 ETF 투자포인트

1. KODEX 레버리지는 기초지수의 일별수익률을 매일 2배수만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누적수익률에 대해서는 2배수로 연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위의 예시와 같이 KODEX 레버리지의 일별수익률은 기초지수 일별수익률의 각각 2배이지만, 누적수익률의 경우 기초지수는 2.0%, KODEX 레버리지는 3.7%로 기초지수 누적수익률의 2배인 4.0%가 되지 못합니다.
  • 상기 수익률은 예시 수익률로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레버리지 계산식 수 있습니다.

2. 기초지수의 일정기간 누적수익률이 플러스(+)이거나 0%(제로)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동기간 KODEX 레버리지의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2008.10.22~2009.01.19 기간동안 기초지수의 연환산 변동성:59.93% 기초지수 누적수익률 X2:2.55% 모의 레버리지 ETF(2배) 누적수익률:-5.88%

  • 상기 수익률은 예시 수익률로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가지수 선물 등 파생상품에 100% 내외, KOSPI200 추적 주식바스켓 또는 ETF에 100% 내외 투자
    → KOSPI200 지수와 주가지수 선물 등의 일별수익률 차이, KOSPI200 지수와 KOSPI200 추적 바스켓 또는 ETF 가격의 일별수익률 차이 발생
  • KODEX 레버리지는 시장의 변동성이 클수록, 투자기간이 길수록 누적수익률과 기초지수 누적수익률의 2배와의 격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 ETF는 단기적인 시장전망에 따라 매매하시는 것이 바람직한 투자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기초지수정보

*기준일 : 2022.08.03 15:30: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KOSPI200 지수는 한국 증권시장의 전체 상장종목에서 시장대표성, 업종대표성 및 유동성을 감안한 200개 종목을 선정하여 1990년 1월 3일(100 포인트) 기준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관련 자료

펀드 리포트

KODEX 뉴스

KODEX 리포트

수익률 / 기준가열기

투자종목정보(PDF)레버리지 계산식 열기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위 레버리지 계산식 레버리지 계산식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레버리지 계산식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레버리지 계산식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레버리지 계산식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레버리지 계산식

이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거래수수료의 5%를 할인 받습니다.

이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거래수수료의 15%를 할인 받습니다.

If you enter telegram information in the lower input box, you can receive push messages to the telegram. How to get key / Chat id확인

이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거래수수료의 15% 돌려 받습니다.

24Hour binance accumulate liquidation - BTCUSD

DPV(개돼지) 투표에 참여 해주세요! 아래 버튼 중 한개를 선택 해서, 레버리지 계산식 가상화폐 시장 전망을 예측 해보세요. 투표 참여자 에게는 전투력 보너스가 지급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