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12월 29일 13:3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은 2021년 연말에 이르러 랩어카운트 추천 상품수를 크게 늘렸다. 지역, 자산, 전략을 다변화해 선택폭을 넓혔다. 반면 투자 추천 주식형과 공모주 상품수는 줄이면서 국내펀드 추천을 축소했다.
29일 더벨이 집계한 판매사별 추천상품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4분기 들어 랩 추천상품수를 크게 늘렸다. 1분기 5개 랩 상품을 추천했던 한국투자증권은 2분기와 3분기 3개 상품만 가판대에 올렸다. 하지만 4분기 11개로 크게 확대했다.
올해 한국투자증권을 포함한 대부분 증권사가 랩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 배경으로는 사모펀드 위축에 따른 풍선효과가 꼽힌다. 내부 상품위원회에서 펀드 판매 승인이 까다로워지면서 비교적 설정이 수월한 랩 상품을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했다. 펀드 수탁은행 확보가 어려워진 운용사들도 랩 자문으로 선회하는 경우도 다수 생겨났다.
랩은 계좌별로 운용돼 사모펀드와 달리 가입자가 편입자산을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매력도 작용했다. 사모펀드는 최소가입금액이 3억원이지만 랩은 정해진 허들이 없어 대부분 1000만~5000만원이며 많아도 1억원 수준이기 때문에 자산 포트폴리오 분산에도 용이하다.
한국투자증권은 지역과 자산, 전략을 다양화한 랩 상품을 선보였다. 국내주식형으로는 VIP자산운용의 자문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상장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종목에 투자 추천 집중 투자하는 ‘한국투자액티브밸류랩II(VIP/성과형)’이 2분기부터 세 분기 연속 추천됐다.
이외에 KPI투자자문의 자문으로 전통적인 가치투자 철학에 모멘텀 투자를 결합한 ‘한국투자콜라보밸류랩(KPI/성과형)’,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 자문하는 ‘한국투자밸류플러스랩(한국밸류)’, 제이앤제이자산운용이 자문하는 ‘한국투자J&J랩(성과형)’과 ‘한국투자액티브J&J랩(성과형)’도 4분기 가판대에 새로 올랐다. 국내채권형으로는 전자단기사채, CP(ABCP 포함), 채권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한국투자단기채플러스랩(3개월)’이 추천됐다.
해외주식형으로는 삼성액티브자산운용이 자문하는 ‘한국투자글로벌메타버스랩II(삼성액티브)’와 첼시투자자문이 자문하는 ‘한국투자미국밸류포커스랩(첼시)’이 가판대에 새로 올랐다. 중국주식 상품으로는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해사무소가 자문하는 ‘한국투자중국장기성장랩(한국운용)’이 2분기부터 세 분기 연속 추천됐다.
자산배분형으로는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의 자산배분 전략과 투자상품본부의 금융투자상품 선정 역량을 결합한 ‘한국투자 KIS-MP 랩’과 크레디트스위스증권 서울지점의 포트폴리오 자문을 받아 글로벌 주식 및 채권 관련 ETP에 투자하는 ‘한국투자글로벌자산배분랩(밸런스/그로쓰)’가 신규 추천됐다.
반면 국내펀드 추천상품수는 연말로 갈수록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공모주펀드 상품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3분기 하이일드펀드 등 6개 공모주 전략의 펀드를 추천했던 한국투자증권은 4분기 ‘KTB코스닥벤처공모주포커스’, ‘마이다스하이일드공모주알파’, ‘하나UBS공모주알파단기채’ 등 3개를 추천하는 데 그쳤다.
국내주식형 액티브펀드 상품수도 3분기 5개에서 4분기 3개로 소폭 줄었다. 코스피지수가 10월 들어 종가 기준 3000포인트 아래로 떨어지는 등 국내증시가 4분기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국내주식형 펀드 상품수를 축소한 한국투자증권의 대응은 성공적으로 평가됐다.
한국투자증권이 연중 추천한 국내주식형 펀드로는 ‘NH-Amundi100년기업그린코리아’가 있다. ESG 평가등급 상위 기업과 ESG 관련 미래 성장성이 높은 섹터들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상품이다.
다만 이 펀드는 한 해 동안 두드러진 성과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theWM에 따르면 이번달 28일 대표클래스 기준 이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2.55%에 불과하다. 동일유형(일반주식) 내 상위 85.98%에 머무는 아쉬운 성과다.
Home > 증권 > 증권 일반
+ A - A
한화자산운용, “증시 하락땐 美 대체자산 ETF 분산투자 추천”
분산투자·포트폴리오 다각화·인플레이션 헤지 기대
칼라일, KKR 등 美 대형 대체투자 전문기업에 투자
한화자산운용이 11일 미국 대체투자 전문회사(Alternative Asset Manager)에 투자하는 ETF를 출시했다. [사진 한화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이 11일 미국 대체투자 전문회사(Alternative Asset Manager)에 투자하는 ‘ARIRANG 미국대체투자Top10MV’ 상장지수펀드(ETF)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이 ETF는 매출이나 운용자산의 최소 75% 이상이 대체자산으로 구성된 미국 상장 대형기업 10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대체투자는 기존 주식과 채권이 아닌 PE(Private Equity),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 기타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ETF 구성 종목은 세계 3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블랙스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 인수합병 전문 회사인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등 글로벌 대체투자 전문회사가 다수 포함됐다.
대체투자 전문회사는 운용보수뿐만 아니라 성과보수, 투자수익 등 다양한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장점으로 꼽힌다. 자산의 분산투자 효과와 대상 자산의 상당수는 실물자산으로 인플레이션 위험 회피(헤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의 경우 자회사인 아테네홀딩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연금과 보험 사업 등 시너지 효과를 내는 식이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대체투자 접근성은 낮은 수준이다. 비교적 큰 투자 금액이 필요해 고액 자산가와 기관투자자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왔다. 최소 3년에서 7년 투자 추천 이상의 장기 투자가 필수적이어서다. 투자 인원 제한 등 조건도 있다. 따라서 개인투자자가 대체투자를 하기 위해선 ETF를 통해 투자 추천 대체투자 전문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이라는 것이 한화자산운용 측 설명이다.
한화자산운용은 “글로벌 대표 기업인 블랙스톤 시가총액은 약 168조원으로 뉴욕거래소 기준 시총 45위다”라면서 “각 대체전문 기업이 잘하는 분야가 부동산, 인수합병 등 다른 만큼 자연스러운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올해 나스닥 지수가 20% 급락하기도 하는 등 증시가 하락한 상황에 대체자산 투자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은 좋은 투자 전략 중 하나”라며 “대체투자는 투자 투자 추천 기간이 길지만, 전통자산보다 높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올해 상반기 신규 상품 출시 계획도 밝혔다. 김 본부장은 “7월 ‘ARIRANG TDF 액티브 2030·2040·2050·2060’을 출시해 생애주기별로 위험 및 안전자산을 배분할 예정”이라면서 “각 연령대별로 은퇴 기간을 대비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홍다원 기자 [email protected]
증권>증권 일반 섹션 뉴스
‘하락장 대안’이라더니…금리 오르자 체면 구긴 리츠株
코스피 2400선 회복, 외인 매수에 삼성전자 2%↑ [마감시황]
‘IPO 삼수생’ 현대오일뱅크, 결국 세 번째 상장도 철회
코오롱글로벌 인적분할 예고…코오롱그룹株 강세[개장시황]
안다르, 코스닥 상장 나선다…IPO 주관사에 미래에셋 선정
Log in to select media account
Social comment?
투자 추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방지혜기자
- 승인 2022.06.07 09:43
- 댓글 0
한국항공우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7일 오전 9시 40분 기준 한국항공우주는 6.5%(3400원) 상승한 5만5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폴란드가 국산 경공격기 'FA-50' 48대를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마리우시 브롸슈차크 폴란드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말 한국항공우주 공장을 방문해 2조원 규모의 FA-50 구매 의사를 밝혔다.
공군이 옛소련제 미그-29 전투기를 우크라이나에 공여하는 방안을 준비하면서 대체 전력으로 FA-50을 대량 구매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올투자증권 최광식 연구원은 "폴란드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나비효과여서 의미가 크다"며 "한국 투자 추천 방위산업(K-방산)의 유사한 수출 기대감이 커 올해 완제기 수출 계약이 4조원을 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말레이시아와 콜롬비아의 FA-50 공급 계약이 추진 중이며 내년에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 훈련기 등 사업이 대기하고 있다"며 "추진 중인 3개 사업이 확정되면 연말 잔고는 5조원으로 늘고 오는 2024년에 1조원 이상의 최대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덧붙여 "완제기 수출 모멘텀과 기체 부품의 실적 턴어라운드를 바라보며 장기 투자를 추천한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항공우주는 항공기, 우주선, 위성체, 발사체 및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판매, 정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미국 ETF 추천 TOP 6, 이유 및 분석 요약 까지
국내외 증시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최근 우크라이나 러시아 이슈부터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코로나 등의 부정적인 이슈가 많은데요 특히 국내 증시는 크게 반응하기에 해외 투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초보자가 투자하기 좋은 미국 ETF 추천 TOP 5개를 알아보겠습니다.
안정적인 성장 ETF 2개
안정적인 성장을 원하는 경우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가장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SPY ETF, QQQ ETF가 있습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S&P 500 지수와 Nasdaq-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출처 : State Street Global Adivisors
미국을 대표하는 ETF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ETF입니다. SPY ETF가 유명한 이유는 30년간 연 15% 이상 수익률을 기록하기 때문인데요 또한 낮은 운영보수, 높은 거래량, ETF지만 높은 배당금 등의 이유가 있습니다.
[ S&P500 ETF ] - 미국을 대표하는 SPY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구성
다양한 ETF에 대한 분석 글을 포스팅하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SPY ETF 글이 없어 SPY ETF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미국은 대표하는 ETF이자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 ETF의 주가 전망과 종목 구성을
투자하지 않더라도 관심 종목에 등록하고 미국 시황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하기도 적합합니다.
출처 : Invesco
QQQ ETF는 SPY ETF와 달리 미국 기술 시장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금융주가 포함되지 않으며 SPY ETF와 중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메타), 엔비디아 등의 글로벌 기술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미국 나스닥 ETF ] - 미국 기술주 나스닥에 투자하는 QQQ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분석
미국 증시가 연일 신고가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표를 보고 있으면 투자자들 역시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 확신을 못하는 것이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미국 나스닥을 대표하는 ETF, QQQ E
QQQ 역시 30년간 연 20%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기술주 특성상 배당금이 낮고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등의 특정 경제 상황에 변동성이 더 높습니다.
고수익 ETF 2개
사실 고수익 ETF를 검색하신다면 투자 초보자는 아닐 겁니다. 그렇기에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지만 그만큼 리스크가 높은 점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Direxion
SOXL ETF는 인텔,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의 미국을 대표하는 반도체 기업에 3배 투자하는 ETF입니다. 미국 반도체 시장이 지금까지 꾸준한 성장을 하였기에 연 60%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운영 보수가 높고 진입 시기가 중요한 ETF입니다.
[ 미국 나스닥 ETF ] - 미국 기술주 나스닥에 투자하는 QQQ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분석
미국 증시가 연일 신고가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표를 보고 있으면 투자자들 역시 주가가 상승할지 하락할지 확신을 못하는 것이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미국 나스닥을 대표하는 ETF, QQQ E
높은 수익률로 국내 투자자에게도 가장 유명한 상품으로 국내 투자자 해외 ETF 보유 순위 14위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출처 : Direxion
왜 FNGU ETF가 아니라 RETL ETF인 이유는 현재 경제 상황 때문입니다. FNGU ETF는 미국 대표기업 8개, 중국 2개 기업을 포함한 세계 최고의 기업에 3배 투자하는 ETF지만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에 가장 취약한 ETF입니다.
[ 미국 소매 ETF ] - 미국 S&P 소매 산업 지수를 3배 추종하는 RETL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구성
미국 증시가 연일 상승하며 레버리지 ETF 상품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지수를 3배 추종하는 SOXL ETF와 RETL ETF의 주가 성장이 두드러지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미국 소매 산업 지수를 3
RETL ETF는 미국을 대표하는 소매유통 관련 회사에 3배 투자하는 ETF로 연 40%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에 취약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ETF입니다.
배당 ETF 2개
미국 배당 ETF는 좋은 종목이 너무 많기에 2개만 꼽기 어렵지만 현재 시점에서 가장 좋은 ETF 2선을 뽑아보겠습니다.
출처 : Schwab Asset Management
SCHD는 미국 배당금을 상향해온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낮은 운영보수, 연 16%의 주가 상승, 3%대의 배당, 연 13.82% 배당금 상향 등의 높은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미국 배당 ETF ] - 배당 성장기업에 투자하는 SCHD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구성
주식 투자가 들면서 배당금에 자연스럽게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가 상승과 배당금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는 투자 추천 SCHD ETF의 주가 전망과 종목 구성을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 SCHD ETF
또한 0.06%의 낮은 운영보수, 11년간 증명된 배당 이력, 주가 성장 등으로 국내에도 유명한 ETF입니다.
출처 : JP Morgan
JEPI ETF는 커버드콜 투자 추천 형식의 ETF입니다. 즉 기업이 번 돈 이외에도 ETF 운영 매니저의 판단으로 콜옵션, 풋옵션을 통해 수익을 내고 배당금을 지급하는 구조로 일반적인 배당 ETF에 비해 위험도가 높습니다.
[ 미국 배당 ETF ] - 배당 성장기업에 투자하는 SCHD ETF 주가 전망 및 종목 구성
주식 투자가 들면서 배당금에 자연스럽게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가 상승과 배당금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는 SCHD ETF의 주가 전망과 종목 구성을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 - SCHD ETF
하지만 증시 폭락에도 비교적 방어가 가능하고 기존 QYLD ETF를 보완한 ETF로 6% 정도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기에 선호도가 높습니다.
결론
ETF는 장기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자신의 상황과 자금 사용 시기를 고려하여 ETF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사회 초년생에게는 고수익, 안정성 ETF를 은퇴를 앞둔 시기의 투자자에게는 배당 ETF를 추천드립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