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rade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위험 고지 : 는 레버리지 상품이므로 귀하의 원금 전액이 손실 될 수 있습니다. 거래는 모든 사람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Mitrade의 서비스를 사용하시기 전에 저희의 Product Sheet(상품 공시), Risk Disclosure Statement(위험 공시), 그리고 Client Agreement(고객 계약)을 참조하시고 관련된 위험을 이해했는지 확인하십시오. 귀하는 기본 자산에 대한 어떠한 보유권과 소유권이 없습니다.
Mitrade는 상품 획득, 보유 또는 폐기와 관련하여 조언, 권장 사항 또는 의견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저희 모든 상품은 세계적인 기본 자산에 기반으로 되는 장외 파생상품입니다. Mitrade는 거래집행 서비스만 제공하여 언제든지 이 것은 저희 원칙입니다. Mitrade는 암호화폐를 발행, 구매, 매도하지 않고 암호화폐 교환소도 아닙니다.
Mitrade는 여러 회사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브랜드로 다음 회사를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Mitrade Holding Ltd는 본 웹 사이트에서 설명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금융 상품의 발행자입니다. Mitrade Holding 은 케이맨 제도 통화 당국(CIMA)이 승인 및 규제하고 있으며, SIB 라이센스 번호는 1612446입니다. 등록된 사무실 주소는 Buckingham Square, Phase II, 2nd Fl, 720 West Bay Road, George Town, Grand Cayman, Cayman Islands.
Mitrade Global Pty Ltd의 라이센스 번호는 ABN 90 149011 361이며 호주 금융 서비스 라이센스(AFSL 398528)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정한 구역에 대한, 카드 처리 서비스는 Mitrade Services 금 기반 ETF 금 기반 ETF Ltd (England and Wales등록된 회사이고 등록번호가 11804044입니다. 회사 주소는 영국 런던, WC1N 3AX 27 Old Gloucester Street) 에서 제공합니다. Mitrade Services Ltd는 Mitrade Global Pty Ltd의 전체 자회사입니다.
이 사이트의 정보는 미국,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또는 기타 국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배포 또는 사용이 현지 법률 또는 규정에 위배되는 국가의 거주자들에게 배포 또는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습니다. 영어는 저희의 서비스에 사용되는 주요 언어이며, 또한 본사의 모든 계약 파일에서 법률적인 효과가 가지고 있는 언어라는 점을 유념해 주십시오. 한국어 번역은 참고용입니다. 번역이 영어와 일치하지 않으면 영어판이 우세합니다.
안전자산 금 채굴 관련 ETF 3종 추천
1. 금광 채굴에 관련한 (코인말고. ) ETF 3종이 있어서 가져왔다.
2. GOAU / RING / GDX
3. 금은 확실한 안전수단임에 틀림없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Best Gold Miner ETFs for Q1 2022
The best gold miner ETFs for Q1 2022 are GOAU, RING, and GDX.
2022년 1분기 최고의 금광 ETF
GOAU, RING 및 GDX는 2022년 1분기 최고의 금 채굴 ETF입니다.
금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및 지정학적 혼란과 같은 시장 위험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투자자들이 사용합니다. 이 안전한 자산에 대한 노출을 원하는 투자자는 금괴에 직접 투자하거나 금 선물 계약을 구매하는 등 여러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금에 대한 간접 노출을 얻는 또 다른 방법은 금 채굴 회사를 소유한 상장지수펀드(ETF) 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ETF를 금 산업의 이 부분에 대한 노출을 얻기 위한 유동적이고 저렴한 옵션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금광 산업은 지난 1년 동안 더 넓은 시장에서 크게 저조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 1년 후 총 금 기반 ETF 수익률이 가장 좋은 금 채굴기 상장지수펀드(ETF)는 GOAU, RING 및 GDX입니다.
- 첫 번째 펀드의 최대 보유자는 Franco-Nevada Corp.이고 나머지 두 펀드의 최상위 보유자는 Newmont Corp.입니다.
인버스 및 레버리지 ETF와 운용자산(AUM)이 5천만 달러 미만인 펀드를 제외한 6개의 금광 ETF가 미국에서 거래됩니다 . 이것들은 금을 상품으로 추적하는 ETF가 아니라 금광 주식 을 추적하는 ETF입니다 .
NYSE Arca Gold Miners Index에 의해 측정된 금광 산업은 더 넓은 시장 성과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인덱스 11 월 30 일 2021 년 기준으로 27.9 %의 S & P 500의 총 수익에 비해 지난 12 개월 동안 9.1 % 감소했다 (1) , 지난 해 성능을 기반으로 최고 성능 금 광부 ETF의입니다 미국 글로벌 GO GOLD 및 귀금속 광부 ETF( GOAU ).
아래에서 세 가지 최고의 금광 ETF를 조사합니다. 아래의 모든 수치는 2021년 11월 30일 기준입니다. 2
미국 글로벌 GO GOLD 및 귀금속 광부 ETF(금 기반 ETF GOAU)
- 1년 동안의 성과: -4.0%
- 비용 비율: 0.60%
- 연간 배당수익률: 6.20%
-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31,349
- 관리 자산: 9,560만 달러
- 시작 날짜: 2017년 6월 27일
- 발행사: US Global Investors
GOAU는 미국 글로벌 GO GOLD 및 귀금속 광부 지수를 추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벤치마크는 채굴 및 생산 또는 로열티 또는 생산 흐름의 수동적 소유를 통해 귀금속 및 광물을 생산하는 회사의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ETF는 금광 금 기반 ETF 산업 내에서 운영되는 회사의 선택에 대한 노출을 제공합니다. 삼
멀티캡 펀드는 가치주와 성장주 모두에 투자하는 혼합 전략을 따릅니다. 상위 3개 종목 은 금에 중점을 둔 로열티 및 스트리밍 회사인 Franco-Nevada Corp. ( FNV:TSE )입니다. 귀금속 스트리밍 회사인 Wheaton Precious Metals Corp. ( WPM:TSE ); 귀금속 스트리밍 및 로열티 회사인 금 기반 ETF Royal Gold Inc.( RGLD ). 4
iShares MSCI Global Gold Miners ETF(RING)
- 1년 동안의 성과: -5.1%
- 비용 비율: 0.39%
- 연간 배당수익률: 금 기반 ETF 1.58%
-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152,408
- 관리 자산: 4억 8,970만 달러
- 개시일: 2012년 1월 31일
- 발행사: BlackRock Financial Management
RING은 주로 금광에 종사하는 글로벌 기업의 지수인 MSCI ACWI Select Gold Miners Investable Market Index를 추적합니다.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회사의 절반 이상이 캐나다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미국과 남아프리카가 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5 이 펀드는 특히 대형주에 중점을 두고 혼합 전략을 채택합니다. RING의 최고 보유 주식에는 금, 구리, 은, 아연 및 납의 생산 및 탐사에 중점을 둔 금광 회사인 Newmont Corp.( NEM )이 포함됩니다 . Barrick Gold Corp. ( GOLD , ABX:TSE ), 주로 금 기반 ETF 금과 구리 생산에 중점을 둔 캐나다 기반 금광 회사; 및 Wheaton 귀금속. 6
VanEck 골드 마이너 ETF(GDX)
- 1년 동안의 성과: -7.8%
- 비용 비율: 0.51% 7
- 연간 배당수익률: 0.55%
- 3개월 평균 일일 거래량: 21,662,968
- 관리 자산: 137억 달러
- 시작 날짜: 2006년 5월 16일
- 발행사: VanEck
GDX는 금광 산업에서 활동하는 회사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수인 NYSE Arca Gold Miners Index를 추적하려고 합니다. GDX를 통해 투자자는 단일 펀드에서 금광 산업에 대한 목표 할당을 제공하여 전체 상품 노출을 쉽게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펀드 보유의 대부분은 캐나다, 미국 또는 호주에 소재합니다. 7 금 기반 ETF 시가 총액 스펙트럼에 걸쳐 성장주와 가치주를 혼합하여 투자하는 혼합 전략을 따릅니다 . 이 펀드의 상위 3개 종목은 Newmont, Barrick Gold 및 Franco-Nevada입니다. 8
[뉴스핌 라씨로] '비트코인 ETF' 승인 기대감↑. 몸값 높여 금 추세 따를까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13일 오후 3시42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비트코인이 다시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비트코인 보유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되면서 '비트코인 ETF'도 미국 증시 데뷔가 임박했다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ETF 출시는 곧 제도권 진입을 의미하는 만큼, 기존에 ETF 출시 이후 몸값을 높인 금의 추세를 따를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국내 최고의 해외투자 뉴스 GAM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3일 오후 3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5만5317달러로, 이달 들어 25% 이상 급등했다. 10월 1일 오후 12시경 비트코인은 4만3639달러에 거래됐다. 약 2주 만에 개당 1만1300달러 이상 오른 셈이다. 최근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1조647억 달러로, 페이스북을 제치고 글로벌 자산 순위 6위를 차지했다.
![]() |
게리 겐슬러 미국 SEC위원장. 사진=신화/뉴시스 |
비트코인의 최근 상승 랠리는 지난 5일 이후 가속화됐다. 이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자산운용사 볼트 에퀴티(Volt Equity)가 신청한 '볼트 크립토 인더스트리 비트코인 레볼루션&테크 ETF(BTCR)'의 상장을 승인했다. BTCR은 금 기반 ETF 비트코인을 많이 보유한 기업 등에 투자하는 ETF로, 마이크로스트레티지를 비롯해 테슬라, 트위터 등 비트코인 투자 기업을 포트폴리오에 담을 것으로 보인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당장 올해 비트코인 ETF가 승인될 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비트코인에 투자하거나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포함한 ETF가 승인됐다는 것은 SEC 기조가 많이 누그러졌음을 의미한다"며 "불과 1~2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던 제도권으로 편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SEC의 태도 변화는 게리 겐슬러 의장이 취임하면서다. 겐슬러 의장은 대학교에서 암호화폐 강의를 했을 정도로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암호화폐의 정상적인 안착을 위한 규제 마련에 힘써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달 29일 한 컨퍼런스에서도 "비트코인 ETF와 관련해 SEC의 해당 부서에서 신청서류를 검토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비트코인 ETF 출시 여부는 이르면 이달 중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오는 18일(현지시간) '프로셰어즈 비트코인 스트래티지 ETF'를 시작으로 인베스코(19일), 반에크(25일), 발키리(25일) 등에서 신청한 비트코인 ETF가 SEC의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물론 SEC는 ETF 신청을 승인, 거부 또는 연기할 수도 있다.
제임스 세이파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ETF 애널리스트는 "이번에는 비트코인 ETF 승인 가능성을 상당히 낙관적으로 본다"며 "겐슬러와 SEC가 투자회사법 1940(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에 따라 비트코인 선물 ETF에 대해 긍정적인 언급을 하고 나서 한 금 기반 ETF 달도 안 돼 모든 신청건을 거부하는 모습은 볼 수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비트코인 상승장을 기관투자자들이 이끌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월가의 트레이더와 애널리스트들은 기관의 유입이 부분적으로 비트코인 랠리에 기여하고 있다고 본다. 금융투자업계의 저명한 플레이어들이 몇 주 안에 SEC가 최초의 비트코인 선물 ETF를 승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
비트코인의 ETF 승인은 암호화폐의 제도권 진입과 안전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현재 급격한 변동성 탓에 암호화폐 투자를 꺼지는 투자자들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또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되면서 변동성이 낮아질 수 금 기반 ETF 있다는 점도 비트코인 시장 활성화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ETF 출시 이후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 금의 행보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하는 이들도 있다. 비트코인은 채굴로 얻을 수 있는 양이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을 지닌다. 금의 경우 2003년 ETF 출시 이후 18년 새 최대 4배 가량 상승했다. ETF 출시로 거래 접근성이 높아지고 유동성 공급이 원활해진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트코인도 ETF 출시 이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 미국의 투자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연말 또는 내년 초까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쿼던시 최고경영자(CEO)인 로쉬 싱은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은 11월 중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를 찍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랠리는 아마 내년 1월이나 2월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ARK36의 안토 파로이안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상승랠리는 비트코인이 5만 달러를 돌파했던 한 달 전과는 시장의 힘이 다르다"며 "비트코인이 4만 달러대에서 오랫동안 지지선을 다지며 상승 준비를 잘 한 것 같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은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암호화폐가 ETF 상장 기대감을 선반영한 만큼 하락세를 보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암호화폐 헤지펀드인 판테라 캐피탈(Pantera Capital)의 댄 모어헤드(Dan Morehead) CEO는 "SEC가 비트코인 기반 선물 ETF를 승인하면 '소문을 사고 뉴스를 파는'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어헤드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2017년 12월 비트코인 선물을 상장하기 1년 전 비트코인은 2240% 상승했고,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도 나스닥 상장을 앞두고 1년 간 822% 상승했다"며 "이들은 모두 상장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부연했다.
금 기반 금 기반 ETF ETF
[오피니언뉴스=김혜실 기자] 미국 통화 긴축에 국내외 증시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변동성 장세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상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11일 금 기반 ETF 금과 미국 고배당주, 미국 와이드모트(Wide Moat) 가치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연초 이후 약세장에서 시장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신임 대표이사.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제공.
KRX금현물∙미국고배당S&P∙미국와이드모트가치주 ETF 양호한 성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INDEX KRX금현물 ETF'는 전일 기준 최근 1개월 간 0.68%, 3개월 간 7.89%, 연초 이후 10.1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금 가격 상승과 달러화 강세의 수혜를 보고 있는 상품이다. KRX금현물지수를 추종하는 이 상품의 일간 성과에는 국제 금 시세와 원화 대비 미국 달러화(USD) 환율이 함께 반영돼 금과 USD에 동시에 투자하는 효과가 있다.
선물이 아닌 현물 ETF여서 퇴직연금 계좌에서도 투자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어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올해 시장의 각광을 받고 있다.
'KINDEX 미국고배당S&P ETF'는 같은 기간 각각 -1.0%, 1.17%, -0.35%의 성과를 냈다. 미국 시장 대표지수이자 글로벌 증시의 척도인 S&P500 지수가 최근 한 달간 11.31%, 3개월 간 12.99% 빠지고 연초 이후로는 16.73% 급락한 것을 고려할 때 선방했다는 평가다.
미국 배당성장주에 투자해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이라는 안전마진을 확보한 채 기업의 장기 성장에 따른 자본이득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다.
배당수익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익성장을 기반으로 배당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므로 배당과 성장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분배금이 포함된 수정기준가 기준 상품 수익률은 최근 3개월 1.79%, 연초 이후 0.80%로, 미국 주식 ETF 가운데 안정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KINDEX 미국WideMoat가치주 ETF'는 같은 기간 -6.52%, -5.24%, -6.92%의 성과를 보였다. 마이너스 수익률에도 금 기반 ETF 변동성 장세에서의 상대적 방어력이 부각되고 있다.
워런 버핏의 투자 원칙을 구현한 이 ETF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와 저평가 매력을 함께 갖춘 미국 기업에 투자한다. 안정적 이익창출능력과 재무건전성 등 퀄리티 주식의 특징을 갖고 있으면서 주가 부담이 적은 가치주를 투자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위험 관리에 강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1년 수익률과 3년 수익률은 각각 5.28%, 54.12%로 같은 기간 S&P500지수의 성과 -5.70%, 39.03%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제공
증시 변동성 확대로 안전자산·고배당주 투자 매력 부각
최근 미국 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본격적 통화 긴축과 시장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변동성 확대 국면에 들어섰다.
특히 성장주의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이 비교적 높고 금리에 민감해 큰 하방압력을 받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는 최근 3개월 간 19.06%, 연초 이후로 26.09% 하락한 상태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정성과 방어력이 기대되는 상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정성인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전략부장은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과 달러, 투자 안전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고배당주, 높은 시장지배력과 가격경쟁력을 가진 와이드 모트 가치주 등의 투자 매력은 향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하는 국면에서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부장은 "포트폴리오 변동성 관리에 관심을 갖는 투자자들은 주요국 대표지수 ETF, 유망 테마형 ETF 등과 함께 방어형 ETF 상품에도 분산투자하기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퇴직연금 투자가능' 금현물 ETF 등장…한투운용 국내 첫 출시
올 들어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상장지수펀드(ETF) 투자가 눈에 띄게 활발해진 가운데 이번에는 퇴직연금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금 현물 ETF가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인다.
대표 안전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유용한 금을 퇴직연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사진=한국투자신탁운용 제공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오는 15일 'KINDEX KRX금현물 ETF'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다고 13일 밝혔다. 국내에서 금 현물 ETF가 출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선물이 아닌 현물 ETF인 만큼 퇴직연금이나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서 투자 가능하다.
기존 금 투자 ETF의 경우 모두 파생형 구조의 금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인 탓에 연금계좌에서는 투자가 불가능했다. 국내 퇴직연금 감독규정 상 파생상품 매매에 따른 위험평가액이 자산총액의 40%를 초과하는 상품은 퇴직연금을 통한 투자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KINDEX KRX금현물 ETF는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KRX금시장의 금 현물 가격을 반영하는 KRX금현물지수를 추종한다. 일간 성과에 금 시세와 원화 대비 미국 달러화(USD) 환율이 함께 반영되는 환노출형 상품으로, 투자자는 금과 달러에 동시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은 세계 어디서나 통용되고 그 가치가 높아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힌다. 물가가 상승해도 가치가 훼손되지 않아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도 쓰이기도 한다. 주식이나 채권 등 다른 자산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터라 자산배분에도 필수적이다.
투자자가 금 현물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KRX금시장을 통한 현물 거래, 금 현물 ETF 활용, 금펀드나 골드뱅킹 가입 등으로 다양하다. KRX금시장을 통한 현물 거래의 경우 매매차익이 양도소득세나 배당소득세 과세 대상이 아니라 거래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다만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KRX금시장 금 현물을 거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성인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전략팀장은 "금은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이는 자산배분 전략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수단"이라며 "대표 안전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에 퇴직연금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기 위해 KINDEX KRX금현물 ETF를 출시했다"고 말했다.
정 팀장은 "일반 증권계좌로 ETF에 투자할 경우 매매 차익 등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를 내야 하지만 연금 계좌로 금 기반 ETF 투자하면 연금 수령 시점에 3.3~5.5%의 연금소득세율을 적용받는다"며 "KINDEX KRX금현물 ETF는 장기자금을 금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상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