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위기 (jaejeong wigi) Meaning in English - English Translation
Examples of using 재정 위기 in a sentence and their translations
Promote forgiveness and peace and then even all other troubles like poverty conflict even financial crisis pandemics will also subside.
As outlined by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 they are: fiscal crisis when government expenditure is more than revenue;
Thailand has recovered from the 1997-98 Asian Financial Crisis and was one of East Asia's best performers in 2002.
This logo had been in use from 1992 to 2002 but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resurrection of the club the new one couldn't
The focus of policy will gradually shift towards more painful but necessary reforms which could nevertheless be
This logo had been in use from 1992 to 2002 but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resurrection of the club the new one couldn't
improved its international financial position since the 1998 financial crisis z its foreign debt declining from 90%
So you had the Convocation of the Estates-General where representatives of these Three Estates met at the Palace of Versailles
account surplus as a share of GDP in the euro zone owing largely to their strength in financial services.
in the U.S.(known as the most strictly regulated market worldwide) investors can now can be accused to being“too careful.”.
In spite of the deep structural challenges the new global problems present to it most immediately the credit
fiscal policy enacted by governments with the intent of stabilizing their economies during a fiscal crisis.
Several centuries later World War II and the resulting financial crisis that spread throughout the world gave rise to a new
Korean - English
English - Korean
Conjugation Contact About Privacy Policy Tr-ex.me 에서 한국어 Thanks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 재정문제로 끝나는 모든 글자 의 단어 : 1개
•가게른 •가녘 •가돌리늄 •가랒 •가벼운피읖 •가재무릇 •가짓부렁 •가쿄 •갈루아몽브룅 •갈륨 •갈이그릇 •강녘 •개노릇 •개두릅 •개울녘 •거먕 •거짓부렁 •건드렁 •건드렁건드렁 •걸그렁걸그렁 •겉시늉 •게르마늄 •겨릅 •계그릇 •고기시렁 •고달픔 •고븜 •곱어른 •과레늄산나트륨 •과레늄산칼륨 •과칼륨 •괴상야릇 •구렁 •구릅 •구부렁 •구부렁구부렁 •구시렁 •구시렁구시렁 •국그릇 •귀때그릇 •귀틤 •그랑기뇰 •그래뉼 •그렁 •그렁그렁 •그렁저렁 •그레이프프릇 •그르렁 • 그르렁그르렁 •그릇 •그릇그릇 •그믐 •근드렁 •근드렁근드렁 •글그렁 •글그렁글그렁 •금밥그릇 •기뇰 •기쁨 •길녘 •까치무릇 •깨나른 •껄렁 •껄렁껄렁 •께느른 •꼬꾜 •꼬냑 •꼬마씨우렁 •꽃그릇 •꾸부렁 •꾸부렁꾸부렁 •꿀렁 •꿀렁꿀렁 •끄룽텝 •끼무릇 •나른 •나릅 •나릇 •나이오븀 •나트륨 •남녘 •낱그릇 •내추럴 •넘너른 •네오디뮴 •네오머스캇 •네트웤 •넵투늄 •노듈 •노른 •노릇 •노릇노릇 •노벨륨 •노사장어른 •노휵 •논두렁 •논우렁 • 놋그릇 •누렁 •누렁누렁 •누릇 •누릇누릇 •눈버릇 •눈시늉 •뉴욕머스캇 •느냔 •느냘 •느렁느렁 •느른 •니오븀 •다른 •다이디뮴 •달래꽃무릇 •대그릇 •더르렁더르렁 •더브늄 •덜그렁 •덜그렁덜그렁 •덜렁 •덜렁덜렁 •덩굴시렁 •덩그렁 •데릭스텝 •데카메토늄 •덴드럴 •덴드로븀 •뎅그렁 •뎅그렁뎅그렁 •도깨그릇 •도랒 •도린꼍 •도쿄 •독그릇 •돌그릇 •돌꼇 •동녘 •동클로로필린나트륨 •된히읗 •두렁 •두릅 •두왑 •둘암탉 •뒤꼍 •뒷무릎 •드렁 •드렁드렁 • 드르렁 •드르렁드르렁 •든버릇난버릇 •들녘 •들렁들렁 •디디뮴 •디아조늄 •디플로디늄 •땅두릅 •땅주릅 •떠돎 •떡케잌 •떨그렁 •떨그렁떨그렁 •떨렁 •떨렁떨렁 •뗑그렁 •뗑그렁뗑그렁 •라듐 •라디오악티늄 •라디오토륨 •라멜리포듐 •라이피듐 •란타늄 •러키세븐 •레늄 •로듐 •로슬렁 •로쿠로늄 •루비듐 •루체른 •루테늄 •루테튬 •르브룅 •리놀륨 •리터럴 •리튬 •링럿 •마그날륨 •마수륨 •마이크로마이크로패럿 •마이크로모듈 •마이크로패럿 •마이트너륨 •마터호른 •막그릇 •말무릅 •말버릇 •맞춤부엌 • 매럿 •매클렁 •멀티팀브럴 •메조토륨 •멘델레븀 •멜버른 •멧두릅 •모노럴 •모듈 •모르겐슈테른 •모삿그릇 •몰리브데넘산암모늄 •몰리브덴산암모늄 •무늬제라늄 •무렁무렁 •무릇 •무릎 •물그릇 •물녘 •물노릇 •물렁 •물렁물렁 •므릇 •미라시듐 •미릅 •미쁨 •미코박테륨 •민스트럴 •민틋 •밀른 •바깥어른 •바나듐 •바륨 •바른 •바릊 •바릊바릊 •바위츠렁 •바이래터럴 •바이탈륨 •밖굽이무릎 •발란티듐 •밤잔숭늉 •밥그릇 •밥숭늉 •밭두렁 •배고픔 •배냇버릇 •배럴 •배럿 • 버렁 •버릇 •버릊 •버릊버릊 •버클륨 •벌렁 •벌렁벌렁 •베델른 •베르겐그륀 •베른 •베릴륨 •베베른 •베쿠로늄 •베크로늄 •벨렝 •병신노릇 •보른 •보리숭늉 •볼륨 •부릇 •부엌 •부풂 •북녘 •브델륨 •브로민나트륨 •브론토테륨 •브롬나트륨 •브륀 •블루헤븐 •비틂 •빙장어른 •빠릊 •빠릊빠릊 •뻐릊 •뻐릊뻐릊 •뻘렁 •뻘렁뻘렁 •뻘쭘 •사그릇 •사기그릇 •사돈어른 •사랑어른 •사릅 •사마륨 •사장어른 •산우렁 •새벽녘 •샐녘 •샤기냔 • 서글픔 •서녘 •서른 •서부렁 •서부렁서부렁 •섣달그믐 •설렁 •설렁설렁 •설박탐나트륨 •설베니실린나트륨 •설포브로모프탈레인나트륨 •섯녘 •세륨 •세른 •세븐 •세코바르비탈나트륨 •세틸피리디늄 •세파세트릴나트륨 •세파졸린나트륨 •세팔로스포륨 •세포디짐나트륨 •세포테탄디나트륨 •세포페라존나트륨 •셀레늄 •소경노릇 •소듐 •소르브산칼륨 •소른 •소리시늉 •소브산칼륨 •소테른 •손그릇 •손버릇 •손시늉 •솔빈산칼륨 •쇠무릎 •쇠우렁 •쇼쿄 •수라민나트륨 •수렁 •수제비태껸 •수콫 •수탉 •수톹 •술렁 •술렁술렁 •술버릇 •술베니실린나트륨 •술포브로모프탈레인나트륨 • 숭늉 •슈테른 •슈템베델른 •스렁스렁 •스렝 •스르렁 •스카른 •스칸듐 •스쾃 •스텝 •스트럿 •스트론튬 •스팬드럴 •슬렁 •슬렁슬렁 •슬픔 •시늉 •시렁 •시보귬 •시부렁 •시부렁시부렁 •시시껄렁 •시어른 •시쿄 •시틋 •시티콜린소듐 •신시튬 •실라스타틴나트륨 •심드렁 •싱글럿 •쌍히읗 •썰렁 •썰렁썰렁 •쓰렁쓰렁 •쓰렝 •씨부렁 •씨부렁씨부렁 •씨암탉 •아깆 •아깆아깆 •아드레노크로뮴 •아랫녘 •아르렁 •아르렁아르렁 •아르소늄 •아른 •아른아른 •아비산나트륨 •아스트롤라븀 • 아이오딘칼륨 •아이히호른 •아인슈타이늄 •아인시타이늄 •아펠도른 •아픔 •악티노우라늄 •악티늄 •안굽이무릎 •안뒤꼍 •안무릎 •안어른 •안찱 •알루미늄 •알른 •알른알른 •알미늄 •알킬알루미늄 •알펜호른 •암모늄 •암탉 •암톹 •앞녘 •앞무릎 •애기중의무릇 •애어른 •애퀄렁 •애틋 •야릇 •약그릇 •약주릅 •양은그릇 •어깆 •어깆어깆 •어른 •어른어른 •어부렁 •어븀 •어스렁어스렁 •어슬녘 •어슬렁 •어슬렁어슬렁 •어우렁더우렁 •어지렁버지렁 •어치렁 •어치렁어치렁 •어패럴 •얼렁 •얼렁얼렁 • 얼른 •얼른얼른 •엄범부렁 •엄부렁 •에르븀 •에스파뇰 •에이쿄 •에피스틸륨 •엔도고니듐 •엔쿄 •여덟 •여럿 •여린히읗 •열렁 •열렁열렁 •열릅 •열화우라늄 •옌볜 •오로럴 •오룔 •오르토헬륨 •오른 •오버스텝 •오븐 •오스뮴 •오스미리듐 •오쏘헬륨 •오지그릇 •오지랖 •오토파일럿 •옥그릇 •옥도칼륨 •옥소늄 •온시듐 •옹기그릇 •옻그릇 •왈랑절렁 •왈랑철렁 •왼녘 •요도펜프로핕 •요렁조렁 •요른 •요오드칼륨 •우그렁 •우그렁우그렁 •우그렁쭈그렁 •우라늄 •우렁 •우렁우렁 • 울녘 •울렁 •울렁울렁 •울렁출렁 •웃녘 •웃어른 •원스텝 •웽그렁 •웽그렁뎅그렁 •웽그렁웽그렁 •윈타테륨 •윗녘 •윗어른 •유기그릇 •유리그릇 •으냔 •으냘 •으르렁 •으르렁으르렁 •은그릇 •이나트륨 •이렁저렁 •이리듐 •이븐 •이상야릇 •이세븐 •이오늄 •이오포데이트소듐 •이지렁 •이터븀 •이테르븀 •이트륨 •인듐 •인스텝 •일고여덟 •일렁 •일렁일렁 •일리늄 •일여덟 •입노릇 •입버릇 •자개그릇 •자이로파일럿 •잔노릇 •잠버릇 •장인어른 •장주릅 •저녁녘 •저렁 • 저렁저렁 •저르렁 •저르렁저르렁 •저마늄 •저물녘 •저븐저븐 •저우커우뎬 •절그렁 •절그렁절그렁 •절렁 •절렁절렁 •제라늄 •젱그렁 •젱그렁젱그렁 •조쿄 •좀노릇 •종노릇 •주렁주렁 •주릅 •주인어른 •주쿄 •죽는시늉 •줄렁 •줄렁줄렁 •중노릇 •중의무릇 •쥔어른 •지랄버릇 •지르코늄 •지세븐 •진구렁 •질그릇 •집주릅 •짓시늉 •쩌렁 •쩌렁쩌렁 •쩌르렁 •쩌르렁쩌르렁 •쩔그렁 •쩔그렁쩔그렁 •쩔렁 •쩔렁쩔렁 •쩽그렁 •쩽그렁쩽그렁 •쭈그렁 •쭐렁 •쭐렁쭐렁 •차모늄 •찬그릇 • 참두릅 •찻그릇 •채그릇 •채퍼럴 •책시렁 •처렁 •처렁처렁 •처르렁 •처르렁처르렁 •철그렁 •철그렁철그렁 •철렁 •철렁철렁 •철클로로필린소듐 •첫밗 •초른 •초지렁 •출렁 •출렁출렁 •취소나트륨 •취소암모늄 •취소칼륨 •츠렁츠렁 •치렁 •치렁치렁 •치읓 •칠그릇 •칠렁 •칠렁칠렁 •카드뮴 •카르마뇰 •칼륨 재정 문제 •칼리포르늄 •캐럴 •캐럿 •캘리포늄 •커시드럴 •컷스텝 •케이프커내버럴 •케잌 •코냑 •코라시듐 •코리네박테륨 •코민테른 •코스튬 •코칭스텝 •콕시듐 •콘체른 •콜로듐 • 콜로포늄 •콜리스티메테이트소듐 •쾰른 •쿠렁쿠렁 •쿨렁 •쿨렁쿨렁 •퀴륨 •퀵스텝 •크렁크렁 •크로뮴 •클라도스포륨 •클로르칼륨 •클로벤프로핕 •클로스트리듐 •클로피브레이트알루미늄 •클리니듐 •키읔 •킬른 •타륨 •타이타늄 •탈륨 •태껸 •터드렁 •터드렁터드렁 •터렁 •터렁터렁 •터븀 •터앝 •털렁 •털렁털렁 •테르븀 •테크네튬 •테트라에틸암모늄 •텔루륨 •토륨 •퇴줏그릇 •투렁투렁 •투스텝 •툴륨 •트라이에틸알루미늄 •트라이튬 •트리크로포스나트륨 •트리튬 •티오펜탈나트륨 •티읕 •티타늄 •팀파늄 •파뇰 •파라헬륨 • 파릇 •파릇파릇 •파일럿 •판스코럴 •판쿠로늄 •팔라듐 •패러럴 •패러쾃 •패럴 •패럿 •패스터럴 •퍼렁 •퍼릇 •퍼릇퍼릇 •퍼립터럴 •펄렁 •펄렁펄렁 •페놀나트륨 •페니실륨 •페럿 •페로바나듐 •페로세륨 •페로알루미늄 •페르뮴 •펜토리늄 •포럴 •포메른 •포지트로늄 •폴로늄 •푸렁 •푸릇 •푸릇푸릇 •푸사륨 •풀렁 •풀렁풀렁 •풀시렁 •풀앝 •프라세오디뮴 •프로메튬 •프로세늄 •프로튬 •프로트악티늄 •프로피오니박테륨 •프로핀테른 •플라네타륨 •플라보박테륨 •플로목세프나트륨 •플루토늄 •플뤼겔호른 • 플릇 •플릭테뉼 •피나베륨 •피읖 •피코패럿 •피토크로뮴 •필리듐 •하늄 •하릅 •하멜른 •하모늄 •하이드라이드나트륨 •하이드라이드리튬 •하탸투랸 •하프늄 •한뎃부엌 •한무릎 •함끠 •함실부엌 •해암탉 •핸드우븐 •햇두릅 •햇수탉 •햇암탉 •허구렁 •헌겊 •헌칠민틋 •헐렁 •헐렁헐렁 •헛노릇 •헛부엌 •헝겊 •헥사플루오레늄 •헬륨 •호른 •홀뮴 •화뎬 •횅댕그렁 •훌렁 •훌렁훌렁 •휑뎅그렁 •흔드렁 •흔드렁흔드렁 •흙그릇 •히라코테륨 •히읗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3차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까지 편성하면서 급격하게 늘어난 정부의 재정지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주요국의 국가 봉쇄 조치로 인해 무역이 막히고, 사람간 왕래도 어렵게 되면서 전 세계 경제가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정부가 돈을 풀어 기업과 가계의 경제활동이 멈추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 지출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속도를 조절해 재정건전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특히, 구조적으로 잠재성장률이 하락하는 상황이고, 복지 정책 등으로 인한 정부의 지출이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반해, 우리 경제가 선진국형에 도달하고 인구가 점차 감소함에 따라 정부의 세수가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는 점은 이같은 목소리에 힘을 싣는다.
◆ 역대 최대 규모 3차 추경…나라빚 급증
정부는 지난 3일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의 3차 추경안을 발표하고, 4일 국회에 제출했다. 이번 추경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지원과 고용안전망 확충,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한국판 뉴딜’ 사업 중 즉시 추진할 수 있는 25개 사업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이번 추경의 재원 중 23조8000억원을 국채발행을 통해 조달한다. 그만큼 재정 문제 나라빚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번 추경으로 인해 나라의 총지출은 지난해 본예산 기준 469조6000억원보다 77조5000억원(16.5%) 증가된 547조1000억원이다.
반면, 총수입은 지난해 476조1000억원보다 5조4000억원 줄어든 470조7000억원. 이에 재정 재정 문제 문제 따라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6조4000억원 적자,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제외한 실질적 국가 재정을 뜻하는 관리재정수지는 112조2000억원 적자를 기록, 국내총생산(GDP) 대비로는 각각 –4.0%, -5.8%를 보일 전망이다.
국가채무는 840조2000억원으로 작년 말 728조8000억원보다 111조4000억원 증가하게 됐다. GDP 대비로는 1년 전보다 5.4%p 급증한 43.5%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정부 확대 재정, 과도하지 않아…경제위기 상황, 재정건전성은 부차적”
김우철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우리나라의 재정 투입 규모는 국제적으로 봤을 때 나라 경제 규모에 비해서 과도한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 3년간 급격하게 증가한 국가채무 비율 상승 속도로 재정 여력이 크게 감소했다는 점을 우려했다.
김 교수는 3일 열린 ‘코로나 이후 한국경제의 이슈와 전망’ 정책 학술대회에서 “정부 출범 당시(2017년) 채무비율 36%에서 3년 만에 거의 10%p 급등했다”며 “올해 1분기 국세수입 실적 진도비(전년동기대비 –9.5%)를 반영하면 세입결손 규모는 25조원까지 증가하고, 재정적자와 채무비율은 약 0.7%p 추가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경제위기 대응 재정‧금융지원 규모는 우리나라(GDP 대비 13.1%)가 국제평균(10.3%)보다 더 큰 수준이지만, 세입-세출 측면의 재정투입만 따로 집계하면 G20의 재정투입 규모는 GDP 대비 4.5%로, 우리나라(3.1%)보다 1.4%p 재정 문제 더 크다”면서 “위기대응 재정지원에 따라 GDP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83.3%에서 96.4%로 13.1%p 상승하고 재정적자 비율은 3.7%에서 9.9%로 6.2%p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국가채무와 재정적자 확대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수준에 있으나, 재정여력 급속 감소로 재정압박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가계 재정 문제 재정 문제 인적자원이나 기업 생산기반들을 경제 펀더멘털로 볼 때 코로나 국면에서 지금의 위기의 강도와 범위를 감안하면 그것이 훼손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되는 한, 재정건전성 문제는 대단히 부차적인 것”이라며 “문제는 중장기적 차원의 (재정) 제약을 충분히 염두에 둬야 하기 때문에 포스트 코로나에서 어떤 재정관리 방식을 보이느냐다. 재정건전성은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고 지적했다.
국가채무에 대한 영향 : 3차 추경 포함. 자료=학술대회 자료집
◆ “확대 재정, 글로벌 노멀(Global normal) 될 것”
김 교수는 재정건전성보다 ‘재정의 효율성 및 유지가능성’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재정의 역할이 적극화, 다각화돼 왔고, 코로나19 경제위기 이후 확대 재정은 ‘글로벌 노멀’이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전 정부 주도의 고도성장기, 재정의 역할은 산업화를 지원하고, 경제성장에 필요한 공공재‧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소극적 역할에 그쳤지만, 외환위기와 경제 자유화 및 개방화 시기를 거치면서 그 역할은 위기 극복 및 거시경제 안정화, 복지제공 등 보다 적극적인 역할로 바뀌어 왔다.
김 교수는 “코로나 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경제회복을 위해 확대 재정은 상당 기간 불가피한 선택”이라면서 “중장기적으로도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대응 차원의 재정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재정의 역할 적극화’는 추세적으로 되돌리기 어려운 현상이자 시대적 요구”라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 학자들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 확대 재정에 대해 ‘글로벌 노멀’이라고 한다. 피폐해진 경제와 살림 기반이 황폐된 가계를 지원하는 것은 국가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며 “코로나 경제위기 이후 대외환경 변화 대응 과정에서도 재정은 계속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고, 우리나라에서 코로나 위기는 ‘복지국가 수립’을 최우선적 국가 의제로 채택하게 만드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그런 측면에서) 확대 재정의 역할은 추세이기 때문에 재정의 효율성 및 유지가능성 문제가 이전보다 훨씬 더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2020~2021년 국가채무 전망 : GDP 대비 비율. 자료=학술대회 자료집
◆ 2050년 채무비율 100% 육박…운용방식 바꿔 총지출 규모 낮춰야
김 교수는 늘어난 재정지출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지 못하면 2050년 국가채무 비율이 100%에 육박하게 된다는 점을 들어 ‘재정안정화’와 ‘재정준칙’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운이 좋으면 2021년은 경제회복 단계라고 볼 수 있는데, 정부가 아무리 줄이려고 해도 재정전략회의에서 ‘전시재정’을 얘기했기 때문에 내년 재정지출 증가율은 최소 8%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낙관적으로, 총수입을 지난해 소비재정운용계획의 4% 그대로 적용해도 관리재정수지 적자 5%대는 막기 어려울 것이다. 그랬을 때 채무비율이 49%에 육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만약 지출총량이 9% 이상 증가하거나 코로나 경상 GDP 성장률이 4%를 하회하고, 세입증가율이 3% 이하로 감소하면 국가채무 비율은 50%에 이를 가능성이 높고,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20조원(6%)를 상회할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위기 극복과정에서 늘어나는 국가채무 비율 10%p를 국회 예산정책처의 중장기 재정전망에 반영하면 단순히 계산해도 2028년 채무비율이 67%로 증가하고 2050년에는 거의 100%에 이르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재정안정화를 통해 코로나 위기대응 과정에서 확대된 재정적자(5~6%)를 줄이지 못하면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수준까지 계속 늘어나 대외신인도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증세가 없을 경우 고령화의 영향으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2019년 38.1%에서 2028년 56.7%로 급등하고, 2050년에는 85.6%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거시경제의 장기균형 경상성장률이 3.5% 수준임을 가정할 때 국가채무 비율을 60% 이내로 유지하고자 한다면 GDP의 3% 정도 재정안정화가 필요하다. 증세나 세출삭감을 통해 60조원의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경제적 지대의 세부담이 낮기 때문에 여기에 상대적으로 과세를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 경제회복과 고령화에 따른 복지수요 증가로 지출증대 압박이 재정 문제 상당하기 때문에 재정지출 증가율 상한을 재정수입 전망과 현실적으로 유지 가능한 재정수지 적자 규모에 근거해 도출하고 준칙화함으로써 재정지출 규모를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면서 “국가채무 비율 50%는 이미 지킬 수 없는 수준이 됐고, 60%가 적당한 것으로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가 끝나면 대선이고, 대선이 끝나면 2023년이다. 그때에는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정 문제
오스템임플란트(대표 재정 문제 엄태관, 이하 오스템)가 지난해 매출액 8229억원, 영업이익 1418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1월 25일 오스템은 엄태관 대표의 이름으로 주주사과문을 발표하고 회사 재정 상태를 해명했다. 해당 사과문에는 “일부 언론에서 횡령액이 2020년말 기준 오스템임플란트의 자기자본 대비 108% 수준이라고 보도해 큰 불안감을 안겨 준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공시된 잠정 실적 기준으로 횡령손실 추정액을 모두 반영하고도 당사의 2021년 당기순이익은 31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이는 외부 법무법인이 현재까지 수사진행을 바탕으로 평가한 회수가능금액을 반영한 금액이며, 향후 회수금액이 늘어나는 만큼 위 순이익 금액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오스템의 사과문에 따르면 오스템은 2021년 매출액 8229억원(전년 동기대비 30% 증가), 영업이익 1,418억원(전년 동기대비 44% 증가)로 창사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특히, 해외법인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50% 신장됐다고 밝혔다.
엄태관 대표는 “큰 규모의 횡령사고에도 불구하고 영업상황이나 회사의 펀더멘탈은 전혀 문제없이 매우 우수한 상태”라고 주장했다.
경영활동에도 문제없다는 내용도 밝혔다. “현금흐름도 매월 130억원 이상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재무구조는 튼튼하다. 금융권 또한 오스템임플란트를 여전히 우량회사로 평가하고 있으며, 은행을 비롯한 CB투자자 등과 성실히 소통하고 있다”고 말하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실제 오스템의 R&D, 생산, 영업, 제품 공급은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1월 경영활동도 점검해 본 결과, 수금 및 매출도 당초 계획에 근접한 수준이며, 전년 동월대비 양호한 성장세 또한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엄 대표는 “현재 거래 재개 시점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거래소의 요청사항에 대해 전사 자원과 모든 역량을 집중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사고 원인 파악 및 재발방지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고, 확고한 내부통제시스템과 경영개선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불미스러운 일로 심려 끼쳐드린 점 뼈 저리게 반성하고, 깊이 사죄드린다. 다시는 이러한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고의 기술력에 걸맞은 최고의 내부통제시스템을 갖추고, 주주 여러분의 가치와 이익제고를 위해 뛸 것임을 이 자리를 빌어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재정 문제
eBook
재정은 어떻게 내 삶을 바꾸는가
- 500원 (5% 적립)
- 5만원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적립?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eBook 상품은 배송되지 않으며, 구매 후 지원기기에서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eBook 이용 안내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이 상품의 태그
왜 분노해야 하는가 CAPITALISM IN KOREA Ⅱ : 분배의 실패가 만든 한국의 불평등
가장 아름다운 괴물이 저 자신을 괴롭힌다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분야 책
이 책과 내용이 비슷한 추천 책
카트에 넣기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함께 산 책
고객센터 1544-3800 | 중고샵 1566-4295 (평일 09:00~18:00 토요일,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예스이십사(주) 서울시 영등포구 은행로 11, 5층~6층(여의도동,일신빌딩) 대표 : 김석환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권민석 [email protected] 사업자등록번호 : 229-81-37000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05-02682 호스팅 서비스사업자 : 예스이십사(주)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