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 방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나머지 그림은 생략 사실 이게 실전에서는 이모양을 잘 못잡아내겠음

차트분석 방법

1) 과거에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얼마였는지?

2) 과거에 주가가 상승할 때 얼마의 기간 동안 올랐는지?

3) 과거에 주가가 하락할 때 얼마의 기간 동안 내렸는지?

4) 과거에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동안 거래량은 늘었는지 줄었는지?

5) 과거에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동안 경제상황은 어떻게 움직였는지?

6) 각각의 경제지표들과 주가와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움직였는지?

차트를 알아야 하는 이유

차트를 통해 시장을 예측할 수 있다.

차트란 과거의 주가와 거래량 정보를 이용해서 의미 있는 자료를 만들어낸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기술적 분석이란 과거의 주가흐름을 각종 패턴을 분석하고 지표를 만들어서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고자 하는 분석방법이다.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주가는 사려는 세력과 팔려는 세력의 힘의 균형점에서 형성됩니다. 사려는 세력이 강하면 주가는 오르고 팔려는 세력이 더 강하면 주가는 하락합니다.

도표에 나타나는 주가모형은 스스로 반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장은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만 비효율적인 측면도 존재합니다. 그것을 수치화했을 때 70%~80% 효율적이지만 나머지 20~20% 정도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기술적 분석의 좋은점

첫째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다. 둘째 기본적 분석에서는 본질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이나 과대평가된 주식을 알려준다 하지만 매매 시점을 알려주지는 못하지만 기술적 분석에서는 매매시점을 알려준다.

영웅문s에서 차트보는 방법

차트를 일, 주, 월, 년으로 설정해서 볼 수 있다

봉차트는 무엇인가?

봉차트는 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구성된 가격 차트, 시가는 장 시작시의 가격, 종가는 장 마감 시의 가격입니다.

고가는 하루 동안의 주가 중 가장 높은 가격, 저가는 하루 동안의 주가 중 가장 낮은 가격을 말합니다.

주가의 흐름은 1일, 1주일, 1달 단위로 작성함으로써 일봉차트, 주봉차트, 월봉차트로 구분합니다.

일봉차트는 단기 차트분석 방법 흐름을, 주봉차트와 월봉차트는 중장기 흐름을 파악하는데 좋습니다.

양봉과 음봉의 의미

양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끝났을 경우 빨간색으로 나타납니다. 양봉 몸통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매수세의 강도가 강한 것입니다. 즉 계속해서 양봉이 발생한다면 시장의 매수세력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증거가 됩니다.

음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났을 경우 나타납니다. 음봉은 하루 중에 매수세보다는 매도세가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계속적으로 음봉이 발생한다면 시장의 매도세력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양봉은 가격이 오른 것이 아니다! 전날에 비해 주가가 상승했다는 것이 아니다! 아침에 시작한 가격보다 올랐으면 양봉이고 아침에 시작한 가격보다 떨어졌다면 음봉이 그려지는 것이다.

봉차트로 매수세 예상하기

일봉의 판단하는데 있어 꼬리를 해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몸통의 크기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주가상승을 예고하는 봉 패턴

나머지 그림은 생략 사실 이게 실전에서는 이모양을 잘 못잡아내겠음

주가하락을 예고하는 봉 패턴

나머지 그림은 생략 사실 이게 실전에서는 이모양을 잘 못잡아내겠음

매도세와 매수세가 균형을 이루는 봉 패턴

추세선을 활용

저점과 저점을 이은선을 지지선이라고 하고 고점과 고점을 이은 선을 저항선이라고 합니다.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무엇을 의미하나요?

지지선은 주가가 일정 수준으로 내려오면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려고 하는 지점을 선으로 이은 것입니다.

저항선은 지지선과는 반대로 주가가 일정 수준까지 올라가면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지점을 선으로 이은 것입니다.

일단 추세선이 그려지게 되면 일정 기간 동안은 주가가 추세선 상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점이나 고점이 여러 차례 나타날수록, 추세선의 길이가 길고 완만할수록 신뢰할 수 있는 추세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으로 주가 알기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이란 추세의 변동을 알 수 있도록 구간을 옮겨가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을 말한다.

- 단기이동평균선일수록 정보의 크기가 더 크다.

-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시점이 의미 있는 매매 타이밍이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돌파하는 시점은 매수시점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골든크로스라고 부릅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하는 시점을 매도시점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데드크로스라고 부릅니다. 특히 60일 이동평균선과 같은 중기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주가가 움직입니다.

- 주가가 장기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경우 주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큽니다.(120일 또는 200일)

- 강세국면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서 움직일 경우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할 경우에 추세는 조만간 하락 반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 밖의 패턴 분석으로 매매시점을 찾을 수 있다.

주식이 얼마나 움직이는가?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가를 기초로 만든 일봉과 거래량입니다. 중요도를 굳이 따져본다면 둘 중에 어떤 것이 더 큰 의미를 가질까요? 많은 전문가들은 거래량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것입니다.

“실체는 거래량이고 주가는 거래량의 그림자이다”

거래량의 움직임으로 주가를 예측합니다.

감소세를 보이던 거래량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조만간 주가가 상승할 거라고 예상할 수 있고 반대로 증가세를 보이던 거래량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조만간 주가가 하락할 거라고 예상 할 수 있다.

거래량이 늘어나는 것은 매수세력이 증가하고 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는 종목 중 바닥권에 있는 종목이라면, 시장에서 향후 주가상승을 예상한 세력들이 주식을 매수해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면 된다.

영웅문S로 키움거래상위 보는법

해외주식 > 관심종목 > 키움거래상위

그 주식을 누가 사고 있나요?

거래주체로 가치를 분석하기

투자주체별로 나누어 볼 때 주식시장에는 3대 주체가 잇습니다. 국내기관투자자(투신사, 보험사, 증권사, 종금사, 연기금 및 사모펀드), 외국인 투자자, 개인투자자 입니다.

이 중 눈여겨 보아야 할 주체가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입니다. 그 이유는 개인투자자들보다 종목을 분석하는 능력이 앞서있기 때문입니다.

영웅문S에서 거래주체 분석하기

- 외국인, 기관 순매수 보기

보고 싶은 기업 차트 > 지표 > 외국인 순매수, 기관 순매수 클릭

단 외국인 순매수와 기관 순매수를 알고 싶다면 반드시 일 로 되어있어야 한다.

현재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조지표 적용하기

각종 보조지표로는 추세지표, 모멘텀지표, 변동성지표, 시장강도지표, 가격지표, 거래량지표 등이 있다.

영웅문S로 보조지표 적용하기

1) MACD : 주가의 추세가 한 번 정해지면 일정 기간 추세의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특성을 고려해서 만든 지표이다.

기준선인 0이 보이고, (-)권에 잇을 때는 파란색이, (+)권에 있을 때는 빨간색이 그려진다. MACD곡선과 시그널곡선이 크로스 되는 부분과 0선을 지나치는 것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매매를 하면 된다.

2) 모멘텀분석지표: 시장에서 투자심리나 운동에너지를 통해 추세의 진행이나 변곡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입니다.

1. 이격도 : 이격도는 당일의 주가가 당일의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언젠가는 다시 되돌아오는 경향을 이용하는 지표입니다.

2. 스토캐스틱: 주가를 예측하는 지표라는 뜻으로 주가의 움직임을 잘 반영합니다.

1. 볼린저밴드: 주가가 상한선과 하하선은 경계로 등락을 거듭한다는 것을 이용한 지표입니다.

4) 시장강도분석지표

1. OBV: 거래량이 주가에 선행한다는 전제를 둡니다.

2. 투자심리선: 직접적으로 심리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파동이론으로 투자시기 예측

상승할 때에는 5개의 파동을, 하락할 때에는 3개의 파동을 그리며 순환한다는 것이 파동분석이론입니다.

다우이론으로 투자시기 예측

공포국면에서부터 점차로 매수해서 침체국면에서는 매수를 완료하라,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과정에서는 상승국면에서 점차 매도해서 과열국면에 이르러서는 매도를 완료하라!를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주식 매수시점을 결정하는 원칙 10가지

주가가 완만하게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서서히 늘어나는 경우

전문투자자들이 서서히 주식을 매수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약 거래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주가하락이 멈추면 더욱 분명한 매수시점이 됩니다.

주가가 중요한 전환선을 돌파하거나 신고가를 경신하는 경우

특히 시장에서 10배 이상의 엉첨난 수익을 내는 종목들은 신고가 부근에서 매수해도 됩니다.

큰 악재가 나와도 주가가 흔들리지 않는 경우

주당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지나치게 떨어진 경우

주당순자산은 회사가 청산하는 경우 주주들이 받아갈 수 있는 잔여재산입니다. 보통 주가는 주당순자산과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분기순이익과 당기순이익, 그리고 매출액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기관 보유비중이 낮은데 처음으로 분석보고서가 나오는 경우

회사의 내부자들이 자기회사 주식을 사는 경우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경우

경쟁회사와의 무한경쟁에서 승리하는 경우

오랜기간 시장에서 무시된 기업의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우

주식의 거래량이 서서히 늘어나는 것은 조만간 시장의 무대 한복판으로 올라설 가능성이 큰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무시된 기업효과’입니다.

Pronađite najbolje firme u Beogradu

Heatpoint - eksluzivni uvoznik Dimplex norveških radijatora

Cvećara Ivona

Diva dr Bogdanović poliklinika - dermatološka klinika

Restoran Šaran

BUCK arhitektonsko, medicinsko, javno, sportsko i industrijsko osvetljenje

Izdvojeno iz magazina

Muzej čokolade u Beogradu | Muzeji Srbije

Muzej čokolade je zamišljen kao putovanje kroz istoriju čokolade, od njenog nastanka na prostorima Centralne i Južne Amerike do danas. Osnivači su se opredelili za interaktivne sadržaje ..

Rajsko sokače | Poreklo naziva ulica

Beogradski sokaci nasleđe su vremena kada je naš glavni grad bio orijentalna varoš koju su prožimale stotine uskih i kratkih uličica i prolaza, povezujući one veće i značajnije.

  • 11. avgust 2021.
  • Zabavnik

Kraft pivare u Beogradu: 10 „hramova“ za pivopije

Poslednjih godina u Srbiji je primetna ekspanzija u osnivanju malih, zanatskih mini-pivara. Predstavljamo najpopularnije craft pivare u Beogradu.

  • 24. septembar 2021.
  • Dobre priče

''Ukleti'' pesnik Jaša Grobarov | Staro(beo)gradske priče

Mnogo je ljudi, među javnim ličnostima, koje krasi status gradske ''legende''. Ovaj epitet po pravilu se odnosi na ljude koji su u društvu bili omiljeni 차트분석 방법 i popularni. Kada bi postojala neka hijerarhija ''legendarnih'' Beograđana, pesnik Jaša Grobarov

  • 24. jul 2022.
  • Zabavnik

Dvorski kompleks na Dedinju | Muzeji Srbije

Kraljevski kompleks dvorova dinastije Karađorđević nalazi se na najvišem brežuljku beogradskog naselja Dedinje. Kompleks obuhvata Kraljevski dvor i Beli dvor, dvorsku crkvu posvećenu Svetom Apostolu Andreju Prvozvanom i druge prateće objekte.

주식시장MK

주식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차트와 지표 분석은 셀 수 없을만큼 다양합니다. 이러한 분석 기법 중에서 중요도로 빠질 수 없는 것이 매물대 차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물대란 주식의 일정 가격에서, 일정 기간 동안 거래된 총 주식 수량을 의미합니다. 매물대 차트 보는법은 이러한 매물을 분석하는 것이며 투자자는 분석을 통해 주식의 매수 진입과 매도 시점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물대 차트는 주식의 가격을 지지하거나 저항하는 구간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차트분석 방법 차트 투자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주식의 거래량은 투자 판단에 무척 중요한데 거래량은 특정 기간에 일어난 모든 매수, 매도량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매물대 차트 보는법을 알고 있다면 기간뿐만 아니라 특정 주가에 거래된 모든 매수, 매도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특정 가격대에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면 의미있는 구간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다각도로 종합 분석하여 차트 매매에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매물대 차트 설정 방법

1. 모바일 주식거래 MTS 앱을 실행합니다.

2. 차트에서 좌측 상단 지표를 클릭합니다.

3. 매물대차트에 체크하시면 차트에 매물대가 표시됩니다.

- 방법으로 소개한 사진은 키움증권의 영웅문 MTS이며, 다른 증권사를 이용하고 계시다면 메뉴 위치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 매물대의 기본적 해석을 위해서 내가 표시한 차트 기간에 거래된 주식의 모든 매수, 매도의 총합을 보여준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매물대차트는 [거래량(거래비중)(가격대)]로 표시가 되며 거래비중이 크다면 막대의 길이가 길게 표시되고, 거래 비중이 작다면 막대의 길이가 짧게 표시됩니다.

만약 [100만주(30%)(1만원~1만천원)]으로 매물대가 표시된다면 해당 종목은 1만원~1만천원에 100만주가 거래가 되었으며 내가 설정한 기간동안의 총 거래량의 30%에 해당한다고 해석을 하실 줄 아셔야 합니다.

매물대를 투자에 활용하는 이유

매물대 차트 보는법이 왜 투자에 중요한지 이유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삼성물산 주식이 특정 가격대에 높은 거래량이 체결되었다고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4,000원에 대량의 거래가 체결된 모습인데요. 이 가격에 큰 매수, 매도가 있었기 때문에 해당 가격은 투자 활용에 큰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매수자 또는 매도자 모두에게 대량의 거래가 수반된 특정 가격은 심리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입니다. 매물대 투자에 활용하는 심리는 다음을 가정해야 합니다.

1. 투자자는 누구나 본전을 되찾고 싶어합니다.

이 말은 즉슨, 내가 거래한 가격에 비해서 주가가 하락했을 경우 매도를 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입니다. 그렇다면 언제 매도를 하고 싶을까요? 바로 투자자가 매수한 평단가입니다. 손절 확정을 내기는 쉽지 않고, 하락에 따른 투자실패 스트레스로 본전만 오면 바로 매도를 하겠다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량의 거래가 수반된 특정 매물대보다 주가가 하락했다면 다음 번 상승으로 해당 구간으로 주가가 상승시 강한 매도 압박을 받게 됩니다. 주식 투자에서는 이것을 저항이라고 부릅니다.

2. 투자자는 누구나 저렴하게 사고 싶어합니다.

매물대 차트 보는법에서 이 구절의 해석은 투자자는 저렴하게 살 수 있었던 차트분석 방법 과거를 늘 아쉬워한다는 것 입니다. 내가 구매했던 주식의 가격에 비해서 지속적인 상승으로 주가가 높아졌다고 가정했을 때 투자자는 내가 샀던 가격이 저렴했었고, 많은 비중으로 투자를 했어야 한다고 계속 생각 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가가 하락하여 나의 평단가 근처로 떨어지게 되면 기회라고 생각하며 추가 매수를 하게 되며 하락시 해당 구간에서는 주가 하락의 강한 매수를 받게 됩니다. 주식 투자에서는 이것을 지지라고 부릅니다.

매물대 차트 지지 저항 분석하기

매물대 차트 보는법 첫번째 본전심리가 적용되는 저항 구간을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많은 거래가 동반된 구간을 살펴보면 위 차트상에서는 17,615,953주, 전체 거래량의 29.9%, 132,500 ~ 129,450 저항 가격대가 됩니다. 즉, 많은 사람들이 대량 거래로 본전 매도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밀집된 구간이라는 의미입니다. 주가는 계속 상승을 하지만 저항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확인할 차트분석 방법 수 있습니다.

매물대 차트 보는법 두번째 저가매수가 적용되는 지지 구간을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많은 거래가 동반된 구간을 살펴보면 위 차트상에서는 35,074,564주, 전체 거래량의 24.6%, 129,400 ~ 124,450 지지 가격대가 됩니다. 즉, 많은 사람들이 대량 거래로 평단가에서 매수를 희망하는 투자자들이 많이 밀집된 구간이라는 뜻 입니다. 그래서 주가는 계속 하락했지만 지지 구간을 만나면서 다시 재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매물대 차트 분석시 주의사항

1. 매물대 분석으로 지지, 저항은 내가 설정한 차트 기간에 따라 달라지게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내가 화면을 확대하면 짧은 기간의 매물대가 화면을 줄이면 긴 기간의 매물대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스스로 의미있는 기간을 추정해내고 매물대 차트를 분석을 하셔야 합니다. 너무 오랜기간을 설정하게 되면 심리상의 지지, 저항 구간이 의미가 없어질 수 있고, 너무 짧은기간을 설정하면 적은 거래량으로 마찬가지로 지지, 저항의 분석으로 큰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그래서 매물대 차트 설정시 기간 안에는 [ 의미 있는 거래량이 있을 것, 가격의 변동폭이 크지 않은 횡보 구간이 있을 것, 매물대 적용시 지지 저항이 육안으로 확인되게 설정하는 것 ]을 추천드립니다.

2. 지지와 저항을 맹목적으로 신뢰하시면 안됩니다.

매물대 차트 보는법의 핵심은 미리 주가의 흐름을 보고 지지시 매수, 저항시 매도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많은 투자자분들이 착각하는 것으로 지지와 저항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뚫리게 되면 더 큰 주가 변동성이 보여지게 되는데 지지 실패시 큰 폭의 하락, 저항 실패시 큰 상승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지지 매수, 저항 매도와 같은 공식을 생각하셔서 선매수, 선매도를 하는 것은 안됩니다. 더 중요한 저항 돌파시 매수, 지지로 바닥을 다지는 것을 확인 뒤 매수, 저항 돌파실패시 매도, 지지 실패시 매도와 같은 확실히 결과를 확인하고 들어가시는 것이 추후 주가 변동성에 따라 수익을 극대화시키고, 손해는 최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주식 CCI 지표 차트 분석하기, 매매 활용 방법

주식 CCI 지표 차트 분석 방법을 알아봐요. 주식 투자를 할 때 매매에 도움을 주는 정보들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단연코 차트 분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에요. 단기 트레이딩을 할 때에 보는 것은 두가지로 호가창과 주식 차트로 거래를 하게 되요. 이 때 호가창의 경우 틱단위, 초단위의 초단타 스켈핑에 유효하겠지만 진입 시점에 대해서 확률을 높이고 더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차트 분석이랍니다.

처음 주식을 시작하셨다면 차트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기간별 가격을 나타내는 양봉과 음봉, 거래량, 이동평균선이 다일꺼에요. 이렇게 설정된 3가지는 모든 주식투자자가 공통적으로 확인하는 기본적 정보이기 때문에 차트에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으셨어도 표시 해주고 있어요. 그래서 차트 매매를 하고 싶으시다면 다른 보조지표들을 추가해주셔야만 한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CCI 지표를 설정하고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보조지표의 목적은 추세에 따른 단기매매 전략으로 데이트레이더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원리는 기간별 평균 가격에 비교해보았을 때 현재의 주가가 과매수, 과매도 구간을 판단해주고 과매도 구간에서는 매수를 과매수 구간에서는 매도를 해야하는 시점을 알려준답니다.

주식 CCI 지표란 무엇인가요?

CCI 지표란: 기간에 따른 주가 평균이동가격선을 기준으로 현재의 주식의 가격이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때 일반적인 이동평균선이 아닌, CCI 지표 공식에 따라서 계산된 이동평균치를 사용하게 됩니다. 개발의 목적은 가격변동에 따른 가격의 방향과 강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 CCI 지표 값에 따른 주가흐름 ◀

1. CCI 값이 0을 상향 돌파할 때: 주가는 상승 추세 진입

2. CCI 값이 0을 하향 돌파할 때: 주가는 하락 추세 진입

3. CCI 값이 0으로 횡보할 때: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수렴 상황

CCI 값을 계산하는 공식을 알아봐요

▶ CCI 지표 계산 공식 = M x N ÷ D x 0.015 ◀

1. M은 특정일의 고가, 저가, 종가를 더한 뒤 3으로 나눈 값입니다.

2. N은 M의 특정 기간에 따른 단순이동평균 값입니다.

3. D는 M 값에서 N 값을 뺀 뒤 특정 기간으로 다시 계산한 이동평균치 값입니다. [대부분 20일 설정]

[주가는 이동평균선에 회귀하려는 성질이 있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꺼에요. 차트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5일선,20일선,60일선 등과 주가를 비교 해보아도 비슷하게 맞춰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가격의 급등시 이동평균선에 비해서 높은 상승이, 가격의 급락시 이동평균선에 비해서 높은 하락이 나오게 되고 이 때는 모두 과매수,과매도 구간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평균적인 이동평균선의 값으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에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서 평균선에 비해 현재 주가 수준과 추세의 방향을 쉽게 보기위해서 개발된 것이 CCI 지표랍니다.

CCI 지표 차트 분석으로 매매하는 방법

▶ 과매수, 과매도 판단 ◀

CCI 지표가 +100 초과시: 과매수 구간으로 현재 주가의 급격한 상승 상황으로 하락세 전환 예상

CCI 지표가 -100 미만시: 과매도 구간으로 현재 주가의 급격한 하락 상황으로 상승세 전환 예상

▶ 상승추세, 하락추세 판단 ◀

CCI 지표가 0 +돌파시: 상승추세의 시작으로 매수전략 유효

CCI 지표가 0 -돌파시: 하락추세의 시작으로 매도전략 유효

주가는 전고점에 비해 상승, CCI 지표는 전고점에 비해 하락시: 하락 추세 전환 다이버전스 예고

주가는 전저점에 비해 하락, CCI 지표는 전저점에 비해 상승시: 상승 추세 전환 다이버전스 예고

CCI 지표 매매전략

통상적으로 CCI 지표 매매는 기준선 상향돌파시 매수, 기준선 하향돌파시 매도로 기계적 대응을 해야 합니다. 매매 전략의 핵심은 기준선 돌파로 상승추세 시작 시점에 차트분석 방법 매수를 하고 CCI지표가 100을 초과하는 과매수 구간에 매도를 하는 것이에요. 증권사 HTS와 MTS에서는 CCI의 계산으로 돌파시점을 차트에 표시해주고 있어서 투자자는 참고하여 매매를 하시면 됩니다. CCI 지표의 장점은 추세 상황이 지속된다면 매도 시점 없이 큰 수익을 볼 수 있다는 점이에요.

CCI 지표 차트 적용 방법과 매매 복기 결과 확인하기

1. 증권사 MT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신 뒤 차트로 들어가주세요.

2. 왼쪽 상단에 있는 지표를 누릅니다.

3. CCI 지표를 적용합니다.

4. 신호검색에서 CCI기준선 상향돌파, 하향돌파를 모두 설정합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것은 키움증권의 영웅문이며 CCI 선과 함께 기준선 돌파 표시를 설정하실 것을 권장드리고 싶어요. 지표를 확인하면서 매매시점을 생각하는 것보다 직관적으로 기준선 돌파시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빠른 매매를 하는데 더 유효하기 때문이랍니다.

과거 차트 자료로 표시된 CCI 기준선 상향돌파시 매수, CCI 기준선 하향돌파시 매도를 하엿을 때 복기 결과에요.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추세 매매를 하기 때문에 손절 상황이 크지 않고 잔변동성이 많은 장세에서도 큰 수익을 낼 수 있답니다. 기준선이 아닌 0돌파시점을 기준으로 매매를 하셔도 높은 수익률을 볼 수 있으실꺼에요.

가격의 변동이 횡보적인 장세에서도 손절의 상황은 절대 나오지 않는 모습이에요. 큰 추세가 결정되지 않은 횡보 장세에서는 단기투자로 진입하였다가 중장기적으로 주식의 수량만을 늘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CCI 지표를 이용하면 어떤 장세던 차익거래로 수익을 낼 수 있어요. 다만 이동평균선과 주가의 수렴상황이 많기 때문에 기준선의 돌파 경우의 수도 훨씬 많아 잦은 매매를 해주셔야해요. 그만큼 횡보 장세에서는 손이 많이간다는 단점이 있겠네요.

주가 차트 분석,봉차트와 연결선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가치에 의해 결정되지만, 직접적으로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주가가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주식을 매수할 것이고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매도할 것입니다. 보통 매수세력이 강하면 주가가 올라가고, 매도세력이 강하면 주가는 떨어집니다. 매수세력이 강한 시장을 강세시장이라 하고, 매도세력이 강한 시장은 약세시장이라고 부릅니다.

매수자는 매수자대로 매도자는 매도자대로 이유를 갖고 주식을 사고 파는데요. 매수세력의 자금이 많고 강하면 주가는 상승할 것이고, 매도세력의 물량이 많고 강하면 주가는 하락할 것입니다.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은 차트!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시세를 예측하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차트를 이용하면 분석을 통해 투자심리, 주가 동향, 매매시장 등을 예견합니다. 그렇다면 차트를 보고 주가를 어떻게 예견하는지 살펴볼게요.

차트 분석가들은 무엇을 근거로 주가 방향성과 변곡점을 찾아낼까요?

그 답은 주가 그래프가 가지는 세 가지 본질적 속성에 있습니다. 첫째, 그래프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때까지는 진행방향을 계속 유지합니다. 이를 추세 계속성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 도표상의 주가 모형은 반복하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이를 반복성이라 부릅니다. 세 번째는 주가에도 어느 정도 구심력이 있는데 이를 기업가치의 회귀성이라 합니다.

차트는 과학, 심리학, 그리고 예술이라고도 하는데요. 차트를 과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게임이론, 확률론, 기하학 같은 수학적 개념을 도입하기 때문입니다. 군중 심리과 집단 심리에 따라 매수자는 탐욕에, 매도자는 공표에 빠지기 때문에 심리학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 또 분석가들은 차트의 움직임을 보며 감정의 강약이나 리듬을 느끼기도 하므로 예술이라고도 합니다. 인간은 패턴을 따르려는 본능이 있는데요. 대다수 차트 분석가들은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흐름이나 패턴을 발견하면 기계적으로 매매하려고 합니다.

봉차트란 무엇인가?

그래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봉(또는 캔들)차트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봉차트는 시가(시작 가격), 고가(최고 가격), 저가(최저 가격), 종가(마감 가격)가 그려지며, 막대 모양으로 나타냅니다.

봉차트의 종류는 작성 기간에 따른 분류와 작성 방법에 따른 분류로 나뉩니다.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차트로 구분되며 일봉은 하루, 주봉은 일주일, 월봉은 한 달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냅니다. 일봉은 단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활용하고, 주봉과 월봉은 중장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이용합니다.

작성방법에 따라서는 미국식과 일본식 도표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일본식 도표를 사용합니다. 미국식은 저가, 고가, 종가만 표시하고, 일본식은 시가, 저가, 고가, 종가를 그리되 상승한 날은 붉은색으로 하락한 날은 청색(또는 흑색)으로 표시합니다.

주가가 아침 동시호가 때의 시가보다 상승하여 종가가 더 높게 끝나는 경우양봉이라 하고 붉은색으로 나타냅니다. 반면에 주가가 시가보다 하락하여 종가가 더 낮게 끝나는 경우는 음봉이라 하고 청색으로 나타냅니다.

봉차트와 연결선으로 주가를 예측하기

여러 개의 봉차트를 연결해서 보면 주가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연결 도표라고 하는데 봉차트와 연결 도표를 분석해 투자판단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강한 차트분석 방법 양봉의 경우 는 아침 시가부터 시장이 종료할 때까지 강한 매입세력이 꾸준히 들어와 주가가 상승으로 끝났다는 뜻입니다. 몸통이 긴 상승선이 나타나면 주가가 상승국면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는 매수세력이 강하므로 상승 관점에서 주가를 보는 것입니다.

아래꼬리가 달린 양봉은 일시적으로 장중에 주가기 시가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갔다는 의미입니다 . 바닥권에서 나타나면 속등할 가능성이 높고 상승 전환의 의미로 봅니다. 매수세력이 강하므로 상승의 관점에서 주가를 봅니다.

위꼬리가 달린 양봉은 전일보다 주가가 상승했지만, 고가에서 매도세력에 밀려 종가가 장 중고 가보다 낮은 가격에 끝났다는 의미입니다. 주가가 급격히 떨어지며 반락할 가능성도 있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매물을 받았으니 상승 세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균형 있게 맞서 있는 상태는 주가가 소폭 등락을 보이며 횡보하고 시세가 전환되기 전에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관망하다가 다음에 나타나는 신호를 확인한 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한 음봉의 경우,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가가 계속해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천정권에서 긴 하락이 나타날 경우에는 하락국면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도세력이 강하므로 하락의 관점에서 주가를 봅니다.

위꼬리가 달린 음봉의 경우,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위꼬리를 볼 때 일시 상승 시도가 실패한 모양입니다. 이 형태는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될 때 자주 나타납니다. 천정권에서 매도 관점에서 보고 매수는 다음 봉 확인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꼬리가 달인 음봉 은 하락세를 나타내지만 아래꼬리가 달려있어 바닥권에서 매수가 들어와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 신호를 확인하여 매수시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선만 있는 경우는 강력한 평형 국면입니다. 거래량이 적고 침체국면에서 잘 나타냅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후에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매매합니다.

[참고 1] 봉차트를 볼 때 참고할 사항

  • 첫 번째는 시가와 종가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올라가면 매수세력이 강하고, 종가가 시가 이하이면 매도세가 강합니다. 초보자들은 아침 시가에 매수하고 프로들은 장중 힘의 균형을 확인한 후 종가 부분에서 매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두 번째는 오늘의 시세가 신고가 또는 신저가인지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 신고가는 강한 매수세력이 형성되었다는 반증으로 추가 상승을 예고하고, 신저가는 강한 매도세력으로 인해 매수세력이 붕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추가 하락이 예상됩니다.
  • 세 번째는 거래량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거래량을 수반하는 상승 또는 하락이어야 주도 세력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연결봉으로 매매전략 살펴보자.

개별 봉들을 연결하면 주가의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고 주가가 올라갈 것인지 떨어질 것인지 감각적으로 느껴보세요.

주가가 연속 하락하다가 멈추고 바닥권에서 큰 양봉이 나타나면 주가는 상승반전을 예고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매수 관점에서 보되 다음날 소폭 상승 조정 시 보합선 매수에 적극 가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권에서 긴 꼬리가 달린 망치형 봉이 출현할 때, 즉 하락 추세에서 몸통에 비해 3-4배 이상 긴 꼬리가 달린 망치형 양봉 (또는 망치형 음봉)이 출현하고, 전일 종가보다 높게 가격이 형성될 때는 차트분석 방법 하락에 대항하여 강력한 반발매수 세력이 들어온 것이므로 상승반전을 예고합니다. 상승 반전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매도는 보류하고 매수 관점에서 봅니다.

바닥권에서 큰 음봉이 출현할 때는 하락하던 주가가 멈추는 듯하더니 추가로 폭락하는 경우입니다.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이 투가 하락이 겁나서 투매하는 경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거래량이 늘어나면 일정기간 후에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매도해놓고 추세를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큰 음봉이 출현할 때는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크게 하락한 경우입니다. 이익을 실현하려는 매물이 쏟아져 나왔거나 악재가 나온 경우에 나타납니다. 추가 하락이 예상되는 신호로 하락 또는 횡보 추세에서 나타난 것이라면 매도의 관점으로 보고, 상승추세 중에 일시 하락(조정)이 있을 때는 이후 상승하므로 매수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큰 양봉이 나타날 때는 상승하던 주가가 천정권에서 큰 폭으로 추가 상승하는 경우입니다 . 투자자들이 주가가 조정될 때를 기다리다가 기회가 오지 않자 흥분해서 매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매수 관점에서 보되 추격매수는 자제하기 바랍니다.

상승 중에 상승갭이 발생했을 때, 상승하던 주가가 가격의 갭을 만들며 상승한 경우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호재가 나와 투자자들이 흥분하여 매수한 흔적입니다. 추가 상승이 예상되면로 매도를 차트분석 방법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2] 갭이란 무엇인가?

  • 갭(GAP)이란 인접한 두 개의 봉에서 한 봉의 지점이 다른 봉의 고점보다 높은 모양을 말합니다. 갭은 매도주문이 갑자기 불균형을 이루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상승갭은 매수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호재 출현 시에, 하락갭은 매도세력이 매우 강하거나 돌발 악재 출현 시에 주로 발생합니다. 매매세력을 세울 때는 상승갭이 발생하면 추가 상승의 관점에서 보고, 하락갭이 발생하면 추가 하락의 관점에서 봅니다. 그러나 상승갭이 발생한 후 신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면 매도하고, 하락갭이 발생한 후 신저점을 경신하지 못하면 매수로 이용합니다.

하락 중에 하락갭이 발생했을 때는 주가가 갭을 만들며 하락하는 경우이므로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도 관점에서 보되 매수는 준비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천정권에서 장대 같은 윗 꼬리가 나타날 때는 주가가 오른 상태에서 몸통보다 3-4배나 긴 꼬리가 달린 역망치형 봉이 나타난 경우입니다. 지나친 상승 때문에 매물을 받은 경우로 하락할 가능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매도하거나 매도 준비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두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의 차트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번갈아가며 힘을 겨루는 모습입니다. 조만간 주가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천정권에서는 매도신호, 바닥권에선 매수 신호로 보이는 경우입니다.

[참고 3] 적삼병과 흑삼병

  • 적삼병이란 주가가 3일 동안 연속 상승한 경우를 말합니다. 주가가 상승한 것은 기업에 좋은 재료가 있거나 매수세력이 매우 강한 경우입니다. 주가가 상승으로 전환돼 거 난 상승세가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상승 후 반락하게 되는데, 이를 적삼병 후 흑일병이라고 하며 매수 기회로 여깁니다. 특히 주가가 바닥권일 대 적삼병이 나타나면 강력한 매수 신호로 봅니다. 그러나 거래가 판명되지 않은 경우는 속임수로 판단됩니다.
  • 흑삼병이란 3일 연속 주가 하락한 경우입니다.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주가가 하락 전환하거나 하락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보통 주가가 3일 연속 하락한 후 하루 반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흑삼병 후 적일병이라고 하며 매도기회로 이용합니다. 특히 주가가 천정권일 때 흑삼병이 나타나면 강력한 매도신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봉차트와 연결선을 활용한 주가 분석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차트를 계속 보면서 공부를 해나가나 보면 그 흐름을 파악하는 눈이 생기실 겁니다. 기본적인 차트분석으로 주식종목 선택과 매매시점을 잘 선택하여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추세선과 이동평균선 매매시점 파악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추세선과 이동평균선 차트분석은 종목선정과 매매시점 파악하는데 기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차트분석에는 봉(캔들)차트와 연결선, 추세선과 이동평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