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밴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란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일정한 표준편차 범위 안에 드는 밴드를 설정한 그래프를 말한다. 간략히 볼밴이라고도 부른다.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을 취득했다.
일봉의 경우 대체로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표준편차를 2로 설정한다. 이 경우 약 95% 정도의 캔들이 이 밴드 안에서 움직이게 된다. 볼린저밴드의 상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수(overbought) 상태라서 가격 하락이 예상되므로 매도하고, 볼린저밴드의 하방을 이탈한 경우 과매도(oversold) 상태라서 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수한다. 볼린저밴드는 가격 변동 추세에 대한 보조지표로서 항상 맞는 것은 아니므로, 상대강도지수(RSI) 등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개요 [ 편집 ]
지표 중 볼린저밴드는 시장 전체와 종목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추세지표이다. 특히 선물의 기술적 분석에서 추세분석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볼린저밴드는 1980년 증권분석가인 페리카우프맨들이 처음 소개한 후 금융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존 볼린저가 발전시킨 개념이다. 볼린저밴드는 이동평균을 이용하는 가격대 분석이란 측면에서 이동평균 채널과 유사하지만 가격 변동성(price volatility)분석과 추세분석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이동평균 채널보다 보다 더 발전된 개념이다. 밴드가 이동평균선이 일정 간격이나 비율로 결정되는 반면 볼린저밴드는 가격변동성,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의 배수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 분석(TA)을 위한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는 시장의 변동성이 높고 낮음 및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나타낸다. 볼린저밴드 지표의 주요 기능은 가격이 평균값 주변으로 분산되는 방식을 강조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인디케이터는 상위 대역, 하위 대역 및 중간 이동 평균선(중간 대역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고, 두 가지 측면 밴드는 변동성이 높을 때 팽창하고(중간 라인에서 멀어짐) 변동성이 낮을 때 수축(중간 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시장 가격 이동에 반응한다. 표준 볼린저밴드 공식은 중간선을 20일 '단순이동평균'(SMA)으로 설정하고, 상위 및 하위 대역은 단순이동평균과 관련하여 시장 변동성(표준편차)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표준 볼린저밴드 설정은 20일의 기간을 확인하고 중간 및 아래쪽 밴드를 가운데 선에서 2 표준 편차(x2)으로 설정한다. 이것은 가격의 적어도 85%가 두 밴드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지만 서로 다른 필요와 거래 전략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1]
관련 인물 [ 편집 ]
- 존 볼린저(John Bollinger) : 개인, 가족, 신탁, 기업 및 퇴직 계획에 기술적인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투자관리 회사인 볼린저캐피탈(Bollinger Capital Management Inc.)의 창립자 겸 대표이다. 그는 공인재무분석가(CFA) 및 공인시장기술자(CMT)이며, 다양한 투자도구와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그 중 주식차트 분석 기법중 하나인 볼린저밴드를 개발했다. [2]
특징 [ 편집 ]
볼린저밴드 개념 [ 편집 ]
볼린저밴드는 주가의 높고, 낮음을 상대적으로 정의한다. 밴드의 상한선에서는 주가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고, 하한선에서는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주가를 상대적으로 정의하면, 매수/매도 결정을 위해 가격으로 판단하는 것이 유리한지, 지표로 판단하는 것이 유리한지 비교해볼 수 있다. 적절한 지표들은 추세나 거래량, 시장의 심리, (옵션의 경우) 미결제약정 등 시장의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지표를 같이 사용할 경우,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표들을 같이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예를 들어, 추세 지표와 거래량 지표는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지표로 같이 사용하면 좋지만, 두 개의 추세 지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볼린저밴드는 M자형 꼭지나, W자형 바닥을 확인하는 패턴 인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한선과 하한선은 신호선이 아니다. 하한선이 매수 신호를 의미하거나, 상한선이 매도 신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승 추세가 있는 경우에는 상한선에 따라 올라가고, 하락 추세가 있는 경우에는 하한선을 타고 내려간다. 볼린저밴드를 벗어나는 경우는 현재의 추세가 지속되는 것이지, 추세가 꺾이는 것은 아니다. 볼린저밴드의 기본설정은, 중심선인 이동평균선은 20기간, 상한선/하한선은 표준편차의 2배이다. 그러나 시장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필요도 있다. 중심성은 추세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중심선을 매매를 위한 교차 신호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동평균 기간을 길게 하면, 표준편차 배수도 늘려 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20일 디오평균에 2배의 표준편차인 기본 설정에서, 이동평균 기간을 50기간으로 늘리면, 표준편차고 2.1배로 늘려주어야 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전형적인 볼린저밴드는 단순이동평균을 사용한다. 이것은 표준편차와의 일관성 때문이다. 지수이동평균을 사용하면, 밴드의 폭이 갑자기 변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러면 표준편차를 계산할 때에도 지수이동평균을 사용해야 한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정하기 위한 표본의 크기가 작고, 실제 주가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니므로(실제로는 로그정규분포 임), 볼린저밴드에서는 분포에 대한 통계적 가정은 하지 않는다. %b는 스토캐스틱 지표와 마찬가지로 현재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낸다. %b는 발산, 패턴 인식이나, 볼린저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 트레이딩 등에 사용된다. %b는 다른 지표들을 표준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지표의 50 기간이나, 그 이상의 기간으로 볼린저밴드를 그리고 %b를 이용하면, 그 지표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다. 대역폭(bandwidth)은 볼린저밴드의 폭을 나타낸다. 기본설정에서 대역폭은 변동계수(표준편차/평균)의 4배가 된다. 대역폭은 변동성이 좁아지는 구간(squeeze)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추세 전환을 확인하는 데도 유용하다. 볼린저밴드는 주식, 지수, 외환, 상품, 선물, 옵션, 채권 등 대부분의 금융 시계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볼린저밴드는 분봉, 시간봉, 일봉 등 다양한 크기의 차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볼린저밴드는 지속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하는 것이 사용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설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
볼린저밴드 성질 [ 편집 ]
볼린저밴드는 현재 주가에 대한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주가 표준편차의 +- 2배 되는 지점을 밴드의 상한선(+2배)과 하한선(-2배)으로 정해 놓고, 주가가 이 밴드 안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전제로 한 지표이다. 볼린저밴드의 기본 설정은 아래의 계산식과 같으며, 장기 투자의 경우에는 이동평균기간을 길게 하거나, 단기투자의 경우에는 이동평균기간을 짧게 하는 등 필요에 따라 조정하도록 되어있다.
%b는 현재 주가가 볼린저밴드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수치로 표현한 지표이다. 현재 주가가 하한선을 기준으로 위로 몇 % 지점에 있는가를 수치로 나타낸다. 주가가 하한선에 있을 때는 0이고, 상한선에 있을 때는 1, 그리고 중심에 있을 때는 0.5이다. 현재 주가가 하한선과 중심선 사이에 있으면 0.25로, 하한선에 위로 25% 지점에 있다는 의미가 된다. %b가 음수(-)이면 하한선을 벗어난 상태가 되고, 1 이상이면 상한선을 벗어난 상태가 된다. %b는 그래프를 직접 이해하기 어려운 시스템 트레이딩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대역폭(bandwidth)은 상한선과 하한선의 밴드폭이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이다. 대역폭이 갑자기 좁아진다면, 조만간 큰 변동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한다.
볼린저밴드는 분포에 대한 통계적 가정은 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현재 주가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정규분포에 가깝게 분포하고 있다고 해석해도 무리가 없다. 중심선을 정규분포에 가깝게 분포하고 있다고 해석해도 무리가 없다. 중심선을 정규분포의 중심으로 볼 때,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인 +-2 표준편차 내에 존재할 확률이 95%이므로, 현재 주가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비정상적인 상태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주가가 상한선을 벗어나도 계속해서 상승하거나, 하한선을 벗어나도 계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이 많으므로,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매수/매도 신호로 이용하지 않는다고 권고하고 있다. 또한, 밴드의 폭은 단기간의 변동성을 의미하므로, 밴드의 폭이 좁아져 있는 상태에서 밴드의 폭이 갑자기 확장되면 추세의 변화가 생겨, 상승이나 하락의 추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볼린저밴드 공식 [ 편집 ]
위에 '볼린저밴드 성질'에서 이미 일반적으로 쓰이는 볼린저밴드의 공식을 설명했다. 이를 다시 표준화해서 설명하자면, 중심선은 n일 이동평균선이고, 상한선은 중심선 + (표준편차 * K), 하한선은 중심선 - (표준편차 * K)이다. 일반적으로 n값과 K값은 각각 20과 2를 주로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선호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격이 너무 자주 상-하한선에 부딪힌다면 좀 더 긴 이동평균 값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하한선에 잘 닿지 않는다면 보다 짧은 이동평균 값이 필요할 수 있다. 통계학적으로 보자면 정규분포를 이루는 특정 집단에서 평균 2 표준편차 이내에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95%이다. 이를 볼린저밴드에 대입해보면, 가격이 볼린저밴드 안에 있을 확률은 95%에 달하며, 볼린저밴드 상 표준편차의 2배 이상이나 이하로 볼린저 라인 이탈할 확률은 고작 5%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실제 거래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주식의 가격이나 환율은 절대로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지 않으며, 제대로 된 표준편차 마저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볼린저밴드가 많은 전문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는 것은, 그만큼 단순하고 이해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소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가격이 일정한 확률로 어떤 구간에 놓일 것이라고 예측하는데 높은 효용성을 갖기 때문이기도 하다.
볼린저밴드 활용 기법 [ 편집 ]
존 볼린저는 자신의 저서에서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3가지의 매매기법을 이야기했다.
그래프를 통해 보자면 다음은 볼린저밴드에 의한 매매 포인트를 차트에 표시한 것이다. 단순히 캔들이 상한선에 부딪히면 매도하고, 하한선에 부딪히면 매수한 볼린저 라인 뒤 해당 포지션이 중심선에 도달했을 때 청산하는 전략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캔들이 상한선에 부딪혔다 하더라도 바로 매도하는 것이 아니라 하락 캔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매도하는 것이다. 가격 변동 폭을 고려한 매매신호는 가격대 폭이 상대적으로 축소되었을 때 발생하는 데 상하 폭이 좁은 가격대를 형성하다가 주가가 밴드 상한선을 뚫고 상승할 때는 매수신호로 보고, 반대로 주가가 좁은 가격대를 형성하다 밴드 하한선을 하회하면서 하락하는 경우를 매도신호로 본다. 즉, 동일한 가격순응전략에 입각한 매매신호라고 보더라도 가격 변동성이 낮은 경우에 나타나는 매매신호가 가격 변동성이 클 때 나타나는 매매신호보다 중요성을 가진다고 보는 견해이다. 볼린저밴드의 밴드 상하선을 벗어났던 주가가 밴드로 재진입하는 경우의 매매방법은 주가가 밴드 상한선의 바깥에서 안으로 재진입할 때를 일반적으로 매도신호로 보고, 반대로 주가가 밴드 하한선의 바깥에서 안으로 재진입할 때를 매수 신호로 본다. 개별주식에 대해 기술적 분석 적용 시 표준편차의 2배를 사용하고 선물시장에서는 표준편차의 1배를 사용한다. 이는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차트화면에서 설정가능하다. [5]
플랫폼 [ 편집 ]
이시그널 [ 편집 ]
이시그널 볼린저밴드 도구키트(eSignal BBTK)는 전문가 및 개인 거래자를 위한 고성능 거래 솔루션 및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이다. 이시그널을 사용하면 다양한 거래소에 액세스 할 수 있다. 해당 도구키트를 이용하면 31개의 지표의 차트 템플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구키트 사용시 변동성이 6개월 직전 범위의 최저 사분위수에서 상대적으로 낮아야한다. 그런 다음 브레이크 아웃 시퀀스를 찾아야한다.
메타스탁 [ 편집 ]
메타스탁 볼린저밴드 도구키트(MetaStock BBTK)는 광범위한 시장 데이터 패키지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이다. 메타스탁은 데일리차트 및 데이터링크를 제공한다. 모든 메타스탁 제품에는 주식, 옵션, 포렉스(FOREX), 상품, 외화 등을 분석하기 위한 글로벌 시장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다.
트레이드스테이션 스퀴즈 [ 편집 ]
트레이드스테이션 스퀴즈(TradeStation Squeeze)는 트레이드스테이션의 거래 플랫폼으로, 거래 소프트웨어 및 온라인 금융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트레이딩 앱스토어에서 볼린저밴드 스퀴즈 패키지를 추가하면 존 볼린저가 스퀴즈를 거래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로 플랫폼을 사용자 정의하고 향상을 지원한다.
트레이드스테이션 [ 편집 ]
트레이드스테이션 볼린저밴드 도구키트(TradeStation BBTK)는 트레이딩 앱스토어의 트레이드스테이션 볼린저밴드 도구키트를 사용하면 존 볼린저의 도구 및 지표 모음을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스테이션의 공식 볼린저밴드 도구키드에는 볼린저 라인 존 볼린저의 최신 작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표, 화면 및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고전적인 볼린저밴드 표시기, %b 및 대역폭과 함께 볼린저밴드와 봉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BBlmpulse, BBAcummulation 및 BBTrend와 같은 최신 볼린저밴드 표시기 및 다양한 볼륨 표시기도 포함되어 있다. 트레드스테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볼린저밴드의 기회를 발견하는 데 도움이되는 레이더 스크린 및 스캐너 또한 포함되어있다.
볼린저밴드닷어스 [ 편집 ]
볼린저밴드닷어스(BollingerBand.us)는 미국 주식 시장, 지수, 선물, 외환 및 상품에 대한 지표 및 방법을 사용하는데 관심 있는 거래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볼린저밴드의 웹사이트이다. 볼린저밴드닷어스는 볼린저밴드를 기반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거래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한다. 대화식 차트, 존볼린저의 새로운 작업을 포함한 50가지 이상의 기술 지표, 신호를 이용한 4가지 거래 방법, 스퀴즈 및 W바텀 스크리닝, 산업 그룹 및 분야 분석, 개인 포트폴리오 섹션 등의 도구를 제공한다.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 편집 ]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볼린저밴드 도구키트(TradeNavigator BBTK)는 트레이딩 소프트웨어로 많은 양의 복잡한 데이터를 가져와 실제로 중요한 데이터로 추출하는 도구키트이다.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거래 플랫폼은 대량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신호로 변환하도록 설계되었다.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용 볼린저밴드 도구키트는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프레임워크 내에서 볼린저밴드 도구에 최대한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볼린저밴드 도구키트의 잠재력은 그 자체 또는 다른 트레이드 내비게이터 분석 도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도구에는 제한이 없다. 다양한 기능, 볼린저밴드 도구키트를 제공하는 가장 광범위한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
한계 [ 편집 ]
볼린저밴드는 가격이 급등락을 하는 구간에서는 비교적 정확한 매매신호를 보여주지만, 완만한 등락을 보이는 구간에서는 가격의 변동성이 작아져 밴드의 폭이 좁아지므로 매매신호를 포착하기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볼린저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장세가 불규칙한 등락 구간인지, 아니면 뚜렷한 추세를 보이는 구간인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강도지수(RSI) 등 다른 추세지표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각주 [ 편집 ]
- ↑ 차호중 하이투자증권 부장, 〈(차호중의 재테크 칼럼) 볼린저밴드와 오실레이터 매매기법〉, 《국제신문》, 2019-01-10
- ↑ 볼린저밴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ollingerbands.com/
- ↑ John Bollinger, 〈John Bollinger answers "What are Bollinger Bands?"〉, 《BOLLINGER BANDS》, 2018-00-00
- ↑ 머니투데이, 〈볼린저밴드 3가지 핵심 매매 기법, 존 볼린저가 직접 공개!〉, 《중앙일보》, 2010-08-04
- ↑ 나눔트레이딩 - http://www.nanumtrading.com/fx-%EB%B0%B0%EC%9A%B0%EA%B8%B0/%EC%B0%A8%ED%8A%B8-%EB%B3%B4%EC%A1%B0%EC%A7%80%ED%91%9C-%EC%9D%B4%ED%95%B4/05-%EB%B3%BC%EB%A6%B0%EC%A0%80%EB%B0%B4%EB%93%9C/
참고자료 [ 편집 ]
- 볼린저밴드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ollingerbands.com/
- 나눔트레이딩 - http://www.nanumtrading.com/fx-%EB%B0%B0%EC%9A%B0%EA%B8%B0/%EC%B0%A8%ED%8A%B8-%EB%B3%B4%EC%A1%B0%EC%A7%80%ED%91%9C-%EC%9D%B4%ED%95%B4/05-%EB%B3%BC%EB%A6%B0%EC%A0%80%EB%B0%B4%EB%93%9C/
- 머니투데이, 〈볼린저밴드 볼린저 라인 3가지 핵심 매매 기법, 존 볼린저가 직접 공개!〉, 《중앙일보》, 2010-08-04
- John Bollinger, 〈John Bollinger answers "What are Bollinger Bands?"〉, 《BOLLINGER BANDS》, 2018-00-00
- 차호중 하이투자증권 부장, 〈(차호중의 재테크 칼럼) 볼린저밴드와 오실레이터 매매기법〉, 《국제신문》, 2019-01-10
같이 보기 [ 편집 ]
이 볼린저밴드 문서는 암호화폐 거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볼린저밴드 총정리 - 매매 기법 및 설정 하는 방법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하게 되면 어느 시점이 매수 및 매도 시점인지 모르고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럼 매수/매도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1980년대 존 볼린저(John Bollinger)에 의해 개발된 볼린저 라인 볼린저밴드 보조지표를 사용하여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매수, 매도 시점을 알 수 있는 볼린저밴드의 의미와 예제 문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3.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4.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1. 볼린저 밴드란?
볼린저밴드의 정의는 주가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 변동성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선(주가 이동평균선) 기준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으로 변동폭을 보여줍니다. 글로 이해하기 어려우니 그림으로 바로 넘어가겠습니다.
볼린저밴드란?
업비트 볼린저밴드를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볼린저 밴드입니다. 구성을 보면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주가가 이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에서 맨 위 검은색 선을 상한선, 볼린저 라인 중간에 있는 것을 중심선, 맨 하단에 있는 선을 하한선이라고 합니다.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에서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횡보 추세, 즉 보합 구간에서는 밴드 폭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주요 특징 : 볼린저는 주가의 95% 이상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임을 보인다.
2. 지지선과 저항선
볼린저밴드의 지지선과 저항선
볼린저밴드에서 상승추세이 중간에 있는 중심선은 지지선이 되고, 상한선은 저항선이 되어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는 중심선이 저항선이고, 하한선이 지지선이 됩니다. 즉, 상승과 하락 추세가 만들어지면 중심선이 지지선 또는 저항선이 되며, 상한선은 저항선, 하한선은 지지선이 됩니다. 이 사실을 이용해서 추세를 확인하고 매수, 매도 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횡보 추세에서 매수와 매도가 가능합니다. 단, 이 방법은 단타 시에 주로 사용되며, 계속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직장인 분들은 하기 힘든 매매 방법입니다. 위 그림의 왼쪽부터 보시면, 약간의 상승 추세에서 지지선(중심선)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보입니다. 이때 추세선 분석법과 같이 분석하여 매수를 한 후에 지지선(상한선)을 이탈하려다가 떨어지는 시점이 매도 시점입니다. 빨간색 네모칸 부분을 보시면 하락 추세에서 지지선(하한선)이 잠깐 깨졌다가 올라가는 것이 보입니다. 보통 이렇게 하한선을 뚫고 다시 상승하는 경우 대부분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가 있기 때문에 많은 전문투자자들이 이때를 매수 시점으로 잡고 손절가 확정 및 매도 시점을 파악합니다. 빨간색 네모칸의 매수 시점에서 매수를 한 다음, 빨간색 네모칸 오른쪽에 있는 매수 시점에서 손절을 하거나 버티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저의 경우 이 지점의 지지선(하한선)이 깨지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더 버틴 다음 그림의 맨 오른쪽에 있는 매도 시점에서 매도를 했을 겁니다.
4.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볼린저 밴드의 횡보 및 보합 구간은 밴드 폭이 좁은 경향성을 보이며, 상승, 하락 추세에서는 밴드 폭이 굉장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상승추세 구간에서 주가가 상한선을 타고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주가가 떨어진다고 매도하는 것이 아니고, 추세선을 그어서 그 추세가 깨지는 시점에 매도를 해야 합니다. 위 그림에서 어느 시점이 매도 시점인지 바로 이해가 가시죠?
5. 볼린저밴드 볼린저 라인 지표 세팅
업비트 볼린저밴드 지표 설정 방법
업비트 볼린저밴드를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네모 칸에 있는 글씨를 두번 연속 클릭하시면 화살표와 같이 지표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지표조건설정, 라인 설정, 기준 설정, 스케일 등이 있는데, 여기서 지표조건설정과 라인 설정만 바꾸어주시면 볼린저밴드를 보시는 데,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이제 지표조건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플랫폼의 볼린저밴드 세팅 방법 : 위 방법으로 설정 화면에 들어가지지 않는 다면, 빨간색 네모칸 주변에 설정 버튼 및 아이콘이 있을 겁니다. 그것을 클릭해주시면 설정 화면에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설정화면 안의 내용은 대부분 동일합니다.
라인 설정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볼린저밴드 선의 색깔, 두께 등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지표 의미
위 그림은 볼린저밴드의 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Period와 D1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eriod(기간) : 몇일의 이동평균선으로 할 것인지 설정하는 곳,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20일이 기준입니다.
D1(Distribution) : 표준정규분포 값을 설정하는 곳이며, 평균을 '0'으로 변환하여 편차가 실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 2'라는 숫자가 대부분의 플랫폼의 기준입니다. '2'의 의미는 표준편차에서 x2를 한다는 의미인데, 볼린저밴드에서 상한선과 하한선 안에 캔들이 위치할 확률이 95.44%라는 의미입니다.
위 그림과 동일하게 설정을 하면 아래와 같인 값으로 상한선, 하한선, 중심선이 형성됩니다.
중심선 : n(20)일 이동평균선
상한선 : n(20)일 이동평균선 + 2표준편차
하한선 : n(20)일 이동평균선 - 2표준편차
6. 볼린저밴드 예제 풀이
볼린저밴드 예제1 매도, 매수 시점
볼린저밴드 예제입니다. 볼린저밴드를 보시면 하락 추세에 하한선 아래로 캔들이 아래로 튀어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하락 추세에서 매수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여기는 정말 고수의 영역, 초단타 영역입니다. 저라면 약간의 횡보 추세인, 3번째 매수 시점에 매수를 할 것 같습니다. 그다음에는 상한선을 뚫고 내려가기 직전에 매도를 하거나, 추세선을 그어보고 홀딩을 할 것인지 결정을 하시면 됩니다.
볼린더밴드 예제2 매도, 매수 시점
횡보 구간에 있다가 갑자기 밴드 폭이 점점 늘어나면서 상승 추세에 접어듭니다. 그림에 나와있는 매수 시점은 정말 잡기 어렵습니다. 아마 조금 더 오른쪽에서 매수가 하게 될 것이며, 추세와 지지선을 보았을 때 계속 상승할 것 같으니 계속 홀딩합니다. 홀딩하다가 어느 순간 지지선을 이탈하는 것이 보이네요. 이때 매도하시면 됩니다.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쭉 내려오다가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뚫고 내려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때가 무슨 시점이라고요? 바로 매수 시점입니다. 매수하고 나니 중심선 즉 저항선까지 뚫는 모습을 보입니다. 단타를 하시려는 분들은 상한선을 뚫고 내려가는 시점에서 매도하시면 됩니다.
오늘 볼린저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신뢰도는 95%로 매우 높기 때문에 투자 기준만 잘 정하신다면 확실한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꼭 볼린저밴드로 투자를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볼린저 밴드 (BB)
Bollinger Bands (BB)는 1980 년대 초 John Bollinger가 만든 널리 보급된 기술 분석 도구입니다. Bollinger Bands는 상품 가격과 관련하여 세 줄로 구성된 밴드로 구성됩니다. 중앙의 선은 일반적으로 20일 기간으로 설정된 단순 이동 평균 (SMA)입니다 (추세선 및 기간의 유형은 트레이더가 변경할 수 있지만 20일 이동 평균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SMA는 밴드와 가격 간의 관계를 관찰하여 변동성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상·하부 밴드의 기반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상부와 하부 밴드는 SMA (중앙선)에서 2개의 표준 편차로 설정됩니다; 표준 편차의 수는 트레이더가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에 대한 자세한 것은여기를 읽어 보십시오.
수요일 트레이딩하면서 Gold 가 2주 저가까지 떨어졌습니다. 그러니까 행정부 택스 플랜이 발표된 당일 마감까지는 Gold 는 트레이딩 세션 마감때까지 고가 랠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아래 하이킨-아쉬 차트를 보면 Gold 가 21 이동 평균 저항을 만나, 오늘 트레이딩은 강한 빨간 색 하이킨-아시 캔들로 마감했습니다. 이제 과연 그 스파이크가 비정상적인 것이었는지 아닌지를 물어볼 때입니다. haDelta 인디케이터는 여전히 레드입니다. 나는 여전히 베어리쉬이며 쇼트 포지션을 홀딩중입니다. 어제밤 얘기했듯이, 1245 - 1265 의 강한 트레이딩 레인지가 있습니다. 초록색 네모로 그 영역 아웃라인을 그려 놓았습니다. 그리고 차트에 (차트 아래.볼린저 라인
오늘 천연가스 (Natural Gas) 가 점프를 했으며, 볼린저 밴드 로 부터 올라가 21일 무빙 애버리지와 겨루고 있는 중입니다. haDelta 가 포지티브로 바뀌었기 때문에 풀백을 기다려 롱 포지션으로 진입하려 합니다. 다음은 하이킨-아시 차트입니다: 이 글을 읽고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버튼 눌러 주시고, 다른 분들과 함께 셰어하고 리트윗도 하세요! 면책: 이 볼린저 라인 글은 단지 교육용이며 모든 트레이딩은 본인 스스로의 리스크로 하여야 합니다.
BBImpulse 는 존 볼린저가 제시한 최신 지표 패키지의 일부입니다 - 마케팅 안내문에서 뽑은 내용 (www.bbforex.com): "BBImpulse 는 %b 로부터 나왔습니다. 그 값은 %b 의 주기적 변화입니다. 따라서 만일 %b 가 이번 기간에 0.45 이고 마지막 기간에 0.20 이라면 현재 BBImpulse 값은 0.25 입니다. 차트위에 두개의 참조 레벨, 얼러트 레벨, 그리고 임펄스 레벨을 그려 놓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마켓은 끝부분을 빼고 보면 가장 최근 얼러트 내지 임펄스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이 끝부분에서 이 지표의 이그조스쳔/리버설 시그널(exhaustion/reversal signals) 잇점을 취할 수.
복잡할 것이 없습니다. 단순히 볼린저 밴드를 보면 이동 평균선에 닿을 때마다 튀어 오릅니다.. 좀 더 일찍 알면 좋았을 것을. 올해 배운 것: 절대로 차트를 서로 다른 타임프레임과 관점으로 보는 것을 지겨워 하지 말 것. 그건 마치 보물지도에서 보물을 찾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일입니다. 타겟은 1250 에서 1272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1297 입니다. 내 성향이 보통은 진입에 대해 까다롭고 보수적이긴 하지만 이번에는 금 (Gold) 가 오를 확률이 꽤 높아 보입니다. 굿 트레이드!
어제는 금이 전일 고가위로 마감하지 못했고, 오늘은 1267 가격 레벨위로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난주 열었던 금 포지션을 마감해 버렸습니다. 최소한 BB 중간점을 건들지도 못한 경우는 대단히 드문 일이기는 하지만 가격이 1250 영역에서 현재 구간의 바닥을 리테스트하려는 시도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끝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주말까지 장부이익으로 남겨 놓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 주에 가격 움직임을 살펴 볼 겁니다. 지난 밤에 얘기했던 천연가스 트레이드는 잘 되고 있으며 주말까지 쇼트 포지션을 계속 가지고 갈 겁니다. 안전한 거래를 통해 수익을 보전하세요!
이 전략은 볼린저 밴드 와 RSI 지표를 함께 써서 가격이 윗쪽 볼린저 밴드 위로 올라 갈 때 사고, 반대로 내려 갈 때는 팝니다. 이 간단한 전략은 RSI 와 볼린저 밴드 가 둘 다 한꺼번에 과매도 또는 과매수 조건을 만족할 때만 트리거된다. 업데이트 버전 1.1 에서는 전략을 좀 더 단순하게 하여 더 적은 갯수의 인풋을 썼으며, 볼린저 밴드 의 기초가 되는 단순이동평균 에 대해 기간을 200으로 써서 성공적인 백테스팅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색깔 얼러트 수를 줄였으면서도 좀 더 연관성 있는 트레이딩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볼린저 라인
이번에 소개드릴 것은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라고 불리는, 1980년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한 밴드지표 입니다. 개인적으로 꽤나 합리적이고 흥미로운 기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고 싶으시면, 아래의 책을 읽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트레이더를 위한 독보적인 투자기법과 30여 년 실전 경력의 프로 트레이더로서 저자 존 볼린저만의 남다른 통찰력이 곳곳에 숨어 있다. 혁신적인 기술적 분석 도구의 이론적 바탕과 실전 적용에
존 볼린저는 Band를 구축함에 있어서 단순히 이동평균의 비율만으로 밴드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서 회의감을 느낍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단순히 이동평균*1.2를 upper line으로, 이동평균*0.8을 lower line으로 구축하는 식이였기 때문이죠.
이것의 문제점은 투자자가 시장이 변화함에 따라서 이 비율을 임의로 조정해야했기 때문에 일관성이 부족한 방법이였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 잘 들어맞는 시장의 변동성을 포함한 Band를 만들고자 노력합니다.
그는, 변동성(volatility)를 식별을 위한 수단으로 여러가지를 후보로 고려하였지만, (시장의 변화에 대한)적응력이 더 뛰어날 수록 더 효과적으로 동작한다는 확신을 얻습니다.
결국 그는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가 가장 좋은 고려사항임을 알아냅니다.
2) 볼린저밴드의 계산
비트코인의 볼린저밴드
볼린저 밴드의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Middle line = SMA
Upper line = SMA + mutiplier*STD
Lower line = SMA - mutiplier*STD
여기서, SMA는 Simple moving average(단순이동평균)이고, STD는 Standard deviation(표준편차)입니다.
즉, 이동평균에 표준편차에 몇을 곱한것을 빼거나 더해서 band를 형성시키는 것입니다. 간단하죠?
그런데, 이제 중요한 것이 남아있습니다. SMA와 STD의 계산에서 기간을 몇으로 설정할 것이며, mutiplier는 몇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SMA와 STD는 20일 로 계산하고, multiplier = 2 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금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수치입니다.
10일로 계산시, multiplier = 1.9 , 50일로 계산시, multiplier = 2.1 로 조정할 수 있지만, 10일 미만이거나 50일을 초과하여 계산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았습니다.
(이 단계에서, 여러가지 질문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 볼린저 라인 SMA와 STD의 일수는 동일하게 20일이며, mutiplier는 2이고, EMA가 아닌 SMA를 사용했는지 등등의 것들입니다. 이것은 추후에 심화편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3) 볼린저 밴드의 지표
볼린저 밴드는 밴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b' 와 'Bandwidth' 두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b는 밴드를 기준으로 가격이 어디에 존재 하는지를 알려줍니다.
%b가 100을 넘어갔다는 것은, 가격이 upper band를 뚫고 위로 상승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b가 음수가 되었다는 것은, 가격이 lower band를 뚫고 아래로 하강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Bandwidth는 말 그대로 밴드의 상대적인 폭 을 알려줍니다.
(Upper - Lower)만 할 경우, 절대적인 밴드의 폭이 되지만, 그것을 middle line의 크기만큼 나누어 줌으로서 상대적인 밴드의 폭을 비교할 수 있게 해줍니다.
비트코인의 %b와 BandWidth
투자기법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심화1)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볼린저 밴드의 심화내용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primestory.tistory.com/20 투자기법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기본) 이번에 소개드릴 것은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라고
트레이딩 아이디어에서 "볼린저밴드" 찾기
안녕하세요 싼타코인 가이드입니다 모두들 해피크리스마스이구요 주말까지 따듯하게 보내실수있도록 화끈한 전략 가지고왔습니다! 오늘부터 연말까지 분석글은 전체공개로 진행합니다 대신에 , 추가 코멘트는 비공개로 운영되구요 내년 1월부터는 월 수 금에만 전체공개분석글 + 오전영상이 진행되니 , 우리 팔로워분들은 참고해주시면 좋을거같습니다 개인적으로도 계속해서 매일.
비트코인 주봉의 상황입니다. 현재 상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볼린저 밴드 중심선 돌파 2. 5월 지지선으로 작용했던 55 MA 닿음 3. Williams %R 보조지표 하락추세 : %R 보조지표는 과거 차트에서 볼 수 있듯 저점과 고점을 가리키는 신뢰도가 높은 지표입니다. 다음은 비트코인 일봉의 상황입니다. 1. 5월 지지선으로 작용했던 377 MA 3번째 닿음 2. 12월초 하락이 만든 밑꼬리를 채우지 못함 (과거 차트를 보면 밑꼬리는 항상 몸통으로 채우거나 바닥을 한번 더 확인합니다.) 큰 하락을 보는 볼린저 라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봉에서 377일 이평선에 3번이나 닿았는데 큰 반등이 없는 것은 좋지 않은.
1. SASUKETRADING, mignolet, Roamer님 등의 분석을 참조. 2. Long 포지션이 대부분, Roamer님은 Short 포지션 3. Roamer님도 결국은 Long이지만 지금은 아니라는 stance 4. Long이 맞다면 수일 내로 $53,000 급상승을 보여줘야, 조정구간이라면 어디까지? $30,볼린저 라인 000?(전저점) $40,000?( 볼린저밴드 하단) $46,000? (주봉 50선 하단) 5. 매매전략 1) Long 승리할 경우 : $53,000에서 30%, 가격조정후 반등시 40% 매수 2) 조정구간이 발생할 경우 : $46,000에서 20%, SL 3%, $40,000에서 30% SL은 없음, $30,000.
BINANCE:BTCUSDT 볼린저 밴드위드가 지난 조정후 급등떄와 같은 수치에서 반등하였습니다. 주봉마감은 기준선 위에서 해주었습니다. 지금부터 3일은 변곡일로 지정했던 기간입니다. 1.밴드 볼밴을 벌려가며 달봉 기준선인 36k 까지 가능한 상황입니다. 볼밴의 벌쥐가 시작되었기때문에 위험합니다.(주봉 기준선 다시 크게 이탈하여 달봉의 기준선까지 하락 > 주봉의 구름대하단부분까지 약 36k) 2.이번9캔들째의 캔들에서 하락이 마무리되고 이후 상승이 이어질수있습니다.(3일봉 후행스팬 지지구간인 48.5~42.5까지 열어두면 될것같습니다.) 기준으로 보던 일목균형표 기준을 하방이탈하며 밴드가 벌쥐상태에 접어든순간 하방의.
연말 불장에 회의적인 이전 아이디어 54K 부근에서 반등이 나오길 기대하였으나 천천히 내려오는 파동으로 돌파하고 주요 피보나치 비율 (0.382) 44K 까지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굳이 하락에 대한 이유를 찾자면 3일에 공개된 미 비농업고웅지수 (NonFarm Payroll) 가 예상치를 크게 밑돌면서 시작되었다고 봅니다. 현재 시장 분위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오미크론 변이의 출현으로 경기 둔화 우려 2. 국채 가격의 상승 (국채 금리의 하락) , 주식에서 채권으로 자본 이동 3. 미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 (테이퍼링 가속화, 금리인상) 4. 중국 헝다그룹 디폴트 임박 먼저 나스닥 차트를 보면 현재 나스닥은.
비트코인 주봉 볼린저밴드 중심선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월봉 단위로는 하락세이지만 이번 주 마감은 64K 부근을 예상합니다. 이 구간은 피보나치 비율을 만족합니다. 이번 상승에서 고점을 높이지 못하면 (70K 를 넘기지 못하면) 4월 차트와 비슷해지고 (프랙탈) 그 다음은 큰 하락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시기는 공교롭게도 12월 15일 FOMC 전후가 될 것 같습니다. 어쩌면 우연을 가장한 필연일 수도 있겠네요.
안녕하세요 basically98입니다 이 글은 그저 제가 보는 하나의 가능성일 뿐입니다 이 점을 항상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꽤나 잠잠한 이더리움클래식입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이 잠에서 깰 시간이 거의 다가왔다고 생각합니다. 하방보다는 상방 가능성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 🔵 삼각수렴 ETC는 대략 6개월 규모의 삼각수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삼각수렴 이탈 볼린저 라인 시 매수 관점 철회) 🟠 하락쐐기형 패턴 ETC는 삼각수렴의 내부에서 상승형 패턴(*하락쐐기형 패턴)을 형성하며 삼각수렴 상방 돌파 가능성에 대한 단서를 미리 주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이에 따라 우선은 매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게 유리해 보입니다. 삼각수렴을.
BINANCE:BTCUSDT 지난번글에서 말씀드린 지점에서 지지구역을 지난 기준선 수평구간까지로 표시한것입니다. 이는 제가 실패기준이라 말씀드린 일봉의 구름대하단과 일치합니다. 비트코인은 이 지지가격을 0.07퍼센트정도 하방이탈후 빠르게 반등한 상황입니다. 지난번 하락후 전고점 돌파시나리오를 봤을때 12월6일~12월12일 전고점 돌파가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전 급락이 시작했던 ( 58.9) 날봉 구름대돌파 (60.5) 날봉 기준선 (=3일봉 전환선) 돌파 (61.1) 를 주의깊게보면 될것같습니다. 이러한 채널도 있지만 위에 적어놓은.
비트코인이 100일 이평선 53K 부근에서 반등을 하였으나 볼린저 밴드 중심선과 피보나치 주요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였습니다. 아직 일봉 마감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 있으나 주요 저항을 돌파하지 못하고 멈췄을 때는 다시 바닥을 확인하러 가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지금 자리에서 더 올라가기보다는 53K 를 향해 다시 하락하거나 50K 아래로 하락할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50K 부근까지 하락할 경우 차트 하단의 상승 추세선을 이탈하게 되어 시장은 약세장으로 진입하게 됩니다.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진 상태입니다. 당분간 보수적으로 시장을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캔들모양과 볼린저밴드 를 주로 보는 트레이더입니다. 요새 바빠서 퍼블리싱이 뜸했네요. 저번 글에서 10월봉 고점 근처까지 상승하다 다시 내려올것으로 보인다고 퍼블리싱했었고, 현재 월봉상 10월 고점보다 조금 더 높은 곳에서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중입니다. 아직 11월이 끝나진 않았지만, 지금 추세라면 지금 캔들 모양에서 크게 달라지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지금 당장은 어떤 방향이든지 단기로 드시길 추천드립니다. 12월 월봉캔들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월5선 지지 여부에 따라 코인의 몇 달간의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단타 관점으로 보면, 지금 글을 쓰는 시간 기준으론 숏이 더.
단기적으로 볼린저밴드 안에서 노는걸 확인 후 단타가 좋아보임 볼밴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 시 매우 좋은 자리가 되므로 단기적 홀딩도 좋아보임 -2% 손절라인 +2% 이득라인
기본적으로 알야아하는 내용 해당 그림에서 흰색 박스 주황색 점의 공통적 특징이 보인다. 교훈 다만 이전의 게시물에서 알수 있듯이 반등이 피보나치 0.7 부근이나 빨간색 박스위로 안정적으로 안착하지 못하면 숏 관점은 유지 .. 현재 반등이 4파 반등이면 5파는 54K 까지 열어야하고 ( 익스팬딩 플랫, 이중되돌림) 현재가 저점이려면 RUNNING FLAT 으로 이전 저점인 57500을 깨지않고 횡보하다 올리거나 여기서 상승프렉탈이 나와야함 추세선은 이탈하고 볼린저 밴드, 매물대, 피보나치 0.382, ADR 박스가 지켜주는 구간 언제 아래로 밀어버릴지 모르지만 밀어버린다 해도.
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1. 유로는 하단 1.15251 라인부터 상승하여 10월 4일 전고점 근처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전고점 근처인 1.16381 라인 근처에서 저항이 있을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단기하락조정이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2. 피보나치 채널상 0.618 라인과 볼린저밴드 폭을 넘어선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단기 하락으로 예상됩니다. 큰 하락 평행선 내에서 하단이후 상승패턴이 나타나고 있으며, 장기적인 가격대에서 저항가격은 1.16820 라인 근처의 저항과 평행선 상단라인의 저항이 예상됩니다. -이 아이디어는.
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1. 93.759 라인에서 저점지지를 나타냈으며 S1 라인을 기준으로 지지가 한번더 나타난 모습입니다. R1 라인에서 1차 저항을 받는 모습이 나타나면서 S1 ~ R1 사이에 박스권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P 라인을 기준으로 지지가 나타나며 R1 라인을 뚫고 상승이 나타날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볼린저 밴드 폭의 축소폭이 상당히 감소한 모습으로, 이후 볼린저밴드 주기상으로 폭이 넓어지며 추세가 나타날것으로 예상됩니다. 2. 피보나치 채널은 현재 -0.618 라인으로, 새로운 고점이 형성되며 상승으로.
● 이전 브리핑-그림 클릭 : → 브리핑 한 것과 같습니다. 40.7k 예상 / 찍힌 저점 39.5k / 오차 범위 3% ● 시간이 좀 걸렸지만 강하게 반등해서 단기 저항들을 모두 뚫고 올라와서 비비고 있는 중입니다. 흐름은 괜찮습니다. ●● 결론 : 롱 > 숏 - 일찍 롱 잡으신 분들은 조금 더 들고 가면서 방향이 어디로 나오는지 기다려도 될 듯합니다. - 신규로 들어가실 분들은 아래 시나리오를 참고하십시오. ●●● 일봉 ●●● 1. 이전 브리핑에서 얘기했듯이 구름대 하단과 장기 이평선이 겹치는 자리에서 1차 반등이 나왔습니다. 2. 이후 추가로 3번정도 같은 자리를 건드리러.
3주봉 일반 캔들 차트입니다. 3주봉의 하이킨 아시 캔들을 통해서 현재의 순간이 2018년 1월달의 모습과 유사한 점을 발견했고 그런 패턴이 반복이 될 때 예상해볼 수 있는 경로입니다. 일단 하락을 더 하든 옆으로 횡보를 하든 결국 3주봉의 EMA 13 이평선 밑으로는 가격이 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하락 및 횡보 가능성을 염두합니다. 추후 볼린저 밴드 상단까지 가격이 상승한 후에 3주봉 EMA 50이평선을 만날 때까지의 큰 조정 후 스토케스틱 RSI 쌍바닥을 만들고 윌리엄스 %R -80 값을 찍고 다시 우상향을 하는 흐름 생각중입니다. 현재 가격 기준으로해서 각 중요 구간까지의 변동성을 볼린저 라인 차트에 퍼센테이지로 표시했습니다. 참고.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트코인 시장 점검 및 박스권 돌파 매매전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 차트는 9/14일 기준으로 채널을 돌파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반등장 내지는 9월 중순까지 다시 눌림목 이후, 10월부터 재차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봉상 아직 볼린저밴드 기준선(20일MA)위에 가격이 위치하고 있어 이전고점인 52600불을 대량거래량을 동반하며 강하게 돌파해줄 경우 다시 강세 사이클이 될 것이란 생각입니다. 다시 4시간봉으로 돌아와보면 볼린저밴드 확장구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축-확장을 반복하는 변동성의 성질을 미루어보았을 떄, 어느정도 시세가 나오다가 주요.
BINANCE:BTCUSDT 비트코인3일봉차트입니다. 4월전고점을 넘기냐 못넘기냐를 보기에 1일봉은 노이즈가 많다고 판단되었고 변곡지점이 3일봉과 잘 맞아떨어져 3일봉으로 분석을 하였습니다. 중장기 추세분석입니다. 5월10일 고점이나온이후 9캔들 변곡일에 강한 하락과 동시에 기준선을 돌파 17캔들되는날 음운 출현 33캔들 되는날 최저점을 시작으로 상승추세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42캔들되는 8월17일 구름대 위 안착후 현재 음운의 상단 수평구간을 지지테스트중입니다. 이후 전환선과 기준선 수평인 기간이 이어집니다. 이는 강한 지지 또는 저항을 나타냅니다. 9월13일 변곡일 전까지 현재위치를 지켜준다면 7월말부터 이어진.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