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경험
비트코인 모형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에서 50세 미만 성인 남성 2명 중 1명은 가상화폐에 투자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BC 방송은 지난 18∼22일 미국의 성인 1천 명을 상대로 가상화폐 투자 경험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보도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5명 중 1명(21%)은 적어도 한 차례 가상화폐에 투자하거나 거래를 하고 이용해봤다고 답했다.
NBC는 "의회가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면서 가상화폐 산업을 규제하려 작업하는 와중에도 디지털 자산이 계속해서 인기를 늘려가고 있다는 신호"라고 풀이했다.
18∼49세 남성에서는 가상화폐에 손을 대봤다는 비율이 50%에 달해 모든 연령대·성별 중 가장 높았다.
또 남녀를 투자 경험 포함한 18∼34세 연령대에서 가상화폐를 거래하거나 이용해봤다는 응답률은 42%였다.
그러나 가상화폐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자는 19%에 그쳤고,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이 25%로 투자 경험 더 많았다. 대다수인 나머지 56%는 가상화폐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NBC는 가상화폐가 상대적으로 초창기인 데다 의회에서 이 시장을 규제하는 법률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가운데에도 최근 몇 년 새 이 산업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나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중대한 입법 조치 없이는 가상화폐 시장이 여전히 서부 개척 시대처럼 보일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일 연방정부에 가상화폐 등 디지털 자산의 위험성과 장점을 연구하고 전략을 마련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투자 경험
이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잠재적 사기와 불법 활동에 대한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이지만, 동시에 미국이 가상화폐를 감시·감독할 인프라(기반시설)와 체계를 마련하려는 지정학적 관심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NBC는 풀이했다.
이런 가운데 가상화폐 지지자인 초선 상원의원 신시아 러미스(공화·와이오밍)는 조만간 가상화폐 관련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라고 이 방송은 전했다.
Earticle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본투자 경험에 관한 연구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 발행기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가족자원경영과 정책(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KCI 등재 바로가기
- 통권 제17권 4호 (2013.11) 바로가기
- 페이지 pp.145-170
- 저자 홍성희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206009 복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영어 음성듣기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and process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experience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in Korea, could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and were living in Daegu.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nsive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The participants’ level of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native country were not accepted as human capital and offered no advantages or obtaining employment in Korea, while English language skills were useful for those pursuing an English lecturer position. The motives for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adjusting to early stage of marriage and a new environment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improve female immigrants’ level of education', 'seeking a better job', and 'advocating more education'. The types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pplying to Open University or taking a middle or high school qualification examination', 'obtaining certification', and 'entering regular university'. The participants’ plans for investing in the future were 'finding their own job', 'entering regular university', and 'participating in useful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Korean language skills for daily life'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motives for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related in the stage of their marriage. The phases and changes in their motives during a marriage proved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invest in human capital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situation.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투자 경험
ISA, IRP 등 절세상품 지식 부족해
투자경험 보다 투자교육이 더 중요
ⓒ삼성증권
올바른 투자지식에는 '투자경험'보다 '투자교육'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 삼성증권 조사결과에 따르면 투자경험이 풍부한 '고급 투자자'들이 투자경험이 적은 이른바 '주린이'투자 경험 보다 오히려 투자 지식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지난 6월 30일~7월 4일, 삼성증권 공식 유튜브 채널 Samsung POP의 구독자 중 728명을 대상으로 투자 지식 수준을 알아보는 설문을 진행했다.
먼저 '지금까지의 투자경험'과 '스스로 생각하는 본인의 투자지식 수준'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주린이 투자자', '중급 투자자', '고급 투자자' 3개 등급으로 나눴는데, 68.7%에 해당하는 500명이 '주린이 투자자'로, 26.6%인 194명이 '중급 투자자', 나머지 4.7%에 해당하는 34명이 '고급 투자자'로 분류됐다.
설문은 이들을 대상으로 △경제 △주식 투자 경험 △펀드 △채권 △연금 등 투자 전반을 주제로 한 5문항으로 진행됐다.
먼저 '주린이'로 분류된 500명중에서는 80%에 해당하는 400명이 5문제를 모두 맞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급 투자자'로 분류된 34명 중에서는 56%에 해당하는 19명만이 모든 문제의 정답을 맞춘 것으로 집계됐다.
주린이 투자자들의 경우 최근 급증한 언론, 유튜브 등의 정보채널을 통해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에 대해 학습할 기회를 많이 가진 반면, 고급 투자자들의 경우 자신의 경험에 의지하다 보니 최신 투자지식을 재충전할 기회를 갖지 못해서 발생한 결과로 분석된다.
문항별로는 모든 투자자 등급에서 'ISA와 IRP계좌의 특성'을 묻는 질문에 오답률이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채권의 특징',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의 특징' 주제 투자 경험 순으로 오답률이 높았다.
반면 '주식', '펀드'의 특징을 묻는 질문은 모든 투자자 등급에서 정답률이 90%를 넘어섰다.
특히 '고급 투자자'의 경우 'ISA와 IRP의 특징 중 맞지 않는 것'을 고르는 질문에서는 오답률이 41%에 달해, 절세와 노후준비를 위해 꼭 필요한 계좌/상품임에도 의외로 관련 지식이 부족한 모습을 나타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금번 투자자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오랜 기간의 투자로 경험적 지식을 쌓아온 투자자들도 그 지식 영역이 제한적이고 재교육이 적시에 진행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와 관련된 세제, 투자대상 상품 등이 복잡해지고 변화 주기도 짧아진 만큼 합리적 투자를 위해서는 주린이 뿐 아니라 기존 투자자들도 자신의 수준에 맞는 체계적 교육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삼성증권은 지난 16일 전국민 투자지식 레벨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모바일 동영상 투자교육 사이트인 '투자스쿨'을 정식 오픈했다.
투자스쿨은 삼성증권 고객이 아니더라도 투자를 제대로 배우고 싶은 투자자라면누구나 무료로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지난 7월 19일부터 파일럿 운영을 시작한 투자스쿨에는 파일럿 기간이었음에도 3주간 4천여명의 수강 신청자가 몰리며 체계적 투자 교육에 대한 갈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일럿 오픈이지만 신청자가 많았던 배경에는 그동안 삼성증권이 보여준 우수한 동영상 투자정보 콘텐츠가 입소문을 탔다는 분석이다.
삼성증권 공식 유튜브 채널 Samsung 투자 경험 POP은 구독자만 109만명에 달하고 있고, 지난 7월에는 업계최초로 총 조회수 1억뷰를 돌파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따라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브와 투자교육을 제공하는 투자스쿨, 이 두 동영상 채널이 향후 동영상 투자교육 생태계를 형성하며 선순환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투자스쿨에서 제공되는 강의는 크게 '기본 과정'과 '레벨업 과정'으로 나눠진다. '기본 과정'에서는 경제 및 주식 투자를 위한 기본 지식을, '레벨업 과정'에서는 펀드, 채권, 연금 등 보다 확장된 투자자산 관련 지식을 전달한다.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소속의 애널리스트들과 함께 투자 관련 전문 유튜버 등이 강사진으로 나섰다.
강의 방식도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토크쇼, 퀴즈 프로그램, 애니메이션까지 활용해 재미와 전달력을 높였다.
투자스쿨은 현재는 전용 홈페이지에서 제공되고 있다. 삼성증권의 투린이(투자 초보자)들을 위해 간편투자앱 '오투'(O2)와 투자 경험 모바일 앱인 '엠팝'(mPOP)을 통해서도 곧 만날 수 있을 예정이다.
이승호 삼성증권 디지털부문장 부사장은 "투자의 세계는 단순한 시황의 투자 경험 변화 뿐 아니라 세제, 상품 등 다양한 부분에서 지속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곳"이라며 "당사 고객뿐 아니라 국내 모든 투자자들이 양질의 투자 경험 투자지식을 배우고 꾸준히 업데이트해 나갈 수 있도록 투자스쿨을 제대로 운영해 영업 뿐 아니라 올바른 투자문화 만들기에서도 선도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 경험
코로나시대 직장인들이 주식∙암호화폐 투자로 손실을 많이 본 것으로 드러났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가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 직장인의 재테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기간은 2022년 6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며 설문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투자 경험 전국 직장인 패널 회원 총 1,000명이다.
2020년 이후 ‘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예(87.0%)’, ‘아니오(13.0%)’라고 응답해 직장인 10명 중 약 9명은 주식 투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투자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에게 ‘2020년 이후 당신의 주식 투자 성과는 어떻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과반수가 ‘손실(60.4%)’을 입었다고 응답했으며, 그다음 ‘이익(24.1%)’ ‘원금 유지 수준(15.5%)’ 순으로 응답해 손실 경험자가 이익 경험자의 약 2.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투자 경험자에게 ‘앞으로 주식투자를 늘릴 생각이 있으십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있다(66.7%)’, ‘없다(33.3%)’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에게 2020년 이후 ‘암호화폐 투자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아니오(52.0%)’, ‘예(48.0%)’ 순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투자 경험자에게 ‘2020년 이후 당신의 암호화폐 투자 성과는 어떻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과반수의 응답자가 ‘손실(70.1%)’이라고 선택했으며 이어서 ‘이익(16.0%)’, ‘원금 유지 수준(13.9%)’으로 응답해 손실 경험자가 이익 경험자의 4.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투자 경험자에게 ‘앞으로 암호화폐 투자를 늘릴 생각이 있으십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없다(57.1%)’, ‘있다(42.9%)’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 직장인의 10명 중 9명은 주식 투자, 5명은 암호화폐 투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식 투자와 암호화폐 투자 모두 손실 경험자가 이익 경험자 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에게 ‘지금 당신에게 10억 원의 여유 자금이 주어진다면 당신은 어디에 투자하시겠습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부동산(47.0%)’, ‘주식(25.6%)’, ‘예·적금 상품(15.5%)’, ‘암호화폐(4.9%)’, ‘금(4.2%)’, ‘NTF(2.2%)’, ‘서화·골동품 등(0.6%)’순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의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전국 직장인 패널회원 남자 617명, 여자 383명 총 1,000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0%포인트다.
[아이엠(I'M)] 이상근 콴텍 대표 "좋은 투자경험은 높은 수익률…개인투자자의 '디지털PB' 될 것"
이상근 콴텍 대표(사진)가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아이뉴스24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콴텍의 강력한 차별점은 수익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콴텍]
이상근 콴텍 대표는 25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아이뉴스24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지난 20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콴텍 앱을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자산관리 플랫폼 콴텍은 비대면 투자일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기술을 활용해 투자자들에게 실시간 자산배분과 맞춤 포트폴리오를 추천하는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대표는 "콴텍의 강력한 차별점은 수익성에 있다고 생각한다. 좋은 투자 경험은 화려한 UI(유저인터페이스)나 사용성이 아니라 높은 수익률"이라며 "일반 금리만큼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이상 벌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 금융투자이기 때문에, 그러한 투자자들의 목적을 만족시켜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콴텍이 코스콤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를 통과해 사용 가능한 전략(알고리즘)은 27개로 가장 많다"며 "투자자가 원하는 투자 경험 투자 경험 수익률의 상품을 통해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될 때까지 기다렸고, 최근 앱을 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콴텍의 높은 수익률의 비결은 변동성이 큰 고위험 주식을 주요 자산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다수의 업체들이 중위험·중수익을 목표로 하는 것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이 대표는 "현재 로보어드바이저 업체 중에 국내·해외 주식 투자 알고리즘이 모두 테스트베드를 통과한 회사는 콴텍밖에 없다"며 "보통 상장지수펀드(ETF)를 다루게 되면 중위험·중수익 투자자들을 타겟으로 한다. 콴텍은 '위험(손실)을 30%까지는 감내할 수 있다' 하는 고위험 선호 투자자들을 타겟으로 하는 상품도 가진 것이 타사와의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향후 공모펀드 시장이 없어질 것'이라고 진단하며, 이에 대한 수요가 로보어드바이저 등을 통한 비대면 투자일임 서비스로 이동할 것이라고 봤다.
그는 "펀드는 운용사가 만들고 증권사, 은행 등 판매사를 통해 판매되는 구조라 비용이 높다"며 "과거에는 높은 수수료가 통용됐지만, 온라인 펀드 판매가 증가하며 높은 비용에 불만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 안 좋은 건 집합투자이기 때문에 개인화가 안 된다는 점"이라며 "비대면 투자일임 서비스는 이러한 단점을 모두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콴택 앱의 경우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면 수수료를 떼지 않는다"며 "개인투자자들의 니즈에 따라 투자처를 개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KB증권을 통해 콴택 계좌를 개설하면 콴텍의 로보어드바이저 상품뿐 아니라 보유 투자 경험 종목에 대해서도 투자일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대표는 "투자자가 보유한 주식 등 자산과 저희가 가진 비대면 상품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토탈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제공하겠다는 것이 궁극적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의 자산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디지털자산)으로 확장되고 있는 점도 주목했다. 콴택 앱을 통해 '큐 코인(Q-COIN)' 서비스를 선보이며, 향후 제도권 내에서 증권처럼 거래될 경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또한 개인 연금 시장으로의 확장도 준비 중이다.
이 대표는 "기존 은행·보험에 예치된 개인 연금이 증권으로 넘어오는 '머니무브'가 가속화되고 있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라며 "수익률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콴텍이 이 점을 공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자산을 통합 관리해주는 콴텍 앱이 연금까지 맡을 수 있도록 1차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콴텍은 안드로이드 앱에 이어 오는 6월을 목표로 iOS 앱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대표는 "올해는 콴텍 플랫폼의 고객 수와 운용자금(AUM) 확장에 힘쓸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연금 사업에도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0 개 댓글